서울대생들은 또래의 젊은이에 비해 체격은 비슷하지만 근력과 지구력 등 체력이 훨씬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체육교육과 나영일 교수팀은 '서울대인을 위한 스포츠환경 조성 계획안' 이란 보고서에서 서울대생의 체지방률과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등 기초 체력을 분석한 결과 20대 초반의 젊은이들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12일 밝혔다. 조사대상으로 삼은 서울대생 314명(남 163명·여 151명)의 평균키는 남자 173.4 ㎝, 여자 161.8㎝로 남자는 또래 평균(175.5㎝)보다 2㎝ 가량 작았고 여학생은 평균(161.6㎝)과 비슷했다.
평균 체중은 남자 69.1㎏, 여자 54.5㎏으로 남학생은 평균(71.3㎏)보다 2㎏ 정도 가벼웠고 여학생은 평균(53.6㎏)보다 약간 무거운 것으로 조사됐다.
체지방률은 남학생이 정상 체지방(7~15%)보다 상당히 높은 20.1%로 조사됐고 여학생도 정상(17~25%)보다 높은 28.6%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서울대생들의 체지방률이 높은 것은 외형적인 비만이 아니라 운동 부족으로 체질 성분 중 근육보다 체지방이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악력(握力)으로 근력을 측정해보니 남학생은 평균근력이 39.8㎏로 보통 수준(43.
1~49㎏)보다 크게 떨어졌고 여학생도 24.6㎏으로 보통(25.6~27.5㎏)보다 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윗몸일으키기를 통한 근지구력 측정 결과 남학생은 43.1회로 보통(42.1~48회)이었으나 여학생은 26.6회로 보통(27.1~32.2회)보다 떨어졌다.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로 유연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남학생은 8.5㎝에 불과해 매우 낮음(11㎝ 이하) 수준이었고 여학생도 12.1㎝로 낮음(11.5~16.2㎝) 수준이었다. 운동 횟수(1회 20분 이상,주 3회 이상 기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6.1%가 ' 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그 이유로 '바빠서'(38.9%), '귀찮아서'(37.6%), '시설이 없어서'(9.9%)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1975년과 2005년을 비교해 서울대 학생수는 1만6천146명에서 3만1천59 명으로 두배 가까이로 늘었지만 학생 1인당 체육공간 면적은 1975년 8.27㎡에서 200 5년 4.42㎡로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나 교수는 체육 교육 및 시설이 우수한 싱가포르대와 일본 후쿠오카대 등 해외 선진 대학의 사례를 예로 들면서 "서울대도 학생들의 건강 증진과 전인 교육을 위해체계적인 체육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