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악재가 주식시장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운 가운데 외국인들이 한국 대표기업으로 꼽히는 삼성전자와 현대차 주식을 집중적으로 내다판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자사주 매입 전후로 지분율을 크게 줄여놓은 상태이며 현대차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구속 이후 위기론이 불거지는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매도했다.
19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18일 기준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은 50.92%로 2003년 4월 29일의 50.89% 이후 3년2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 들어 외국인 지분율이 가장 높았던 2월 9일(54.46%)와 비교하면 지분율이 3.54%포인트 감소했다. 게다가 외국인이 135만 5천 주(0.92%)를 추가 매도할 경우 지분율은 50%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4월 18일부터 지난달 30일까지 지속된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기간 동안 외국인은 317만 주(2.18%)를 내다팔았다.
현대차도 정 회장 구속을 계기로 매도세가 집중되면서 올해 4월 6일 46.98%에 달했던 외국인 지분율이 지난달 28일 기준 42.40%로 4.58%포인트 급감했다.
현대차의 외국인 지분율이 2001년 1월 22일 42.37%를 기록한 이후 5년5개월 만에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주가는 외국인 매도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연중 최고가 대비 각각 21%, 29% 급락한 상태다.
증시 전문가들은 두 기업의 상반기 실적이 원화강세 등 대외변수 악화로 인해 부진했던 것이 외국인 매도세의 빌미를 제공했고 각각 자사주 매입과 그룹에 대한 검찰 수사가 대량 매도를 촉발시켰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