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포항지역 건설노조의 포스코 본사 점거를 '명백한 불법'으로 규정, 엄정처리 방침을 밝히고 포스코도 제3자라고 확실한 선을 그음에 따라 포스코 사태는 대화나 협상에 의한 타결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공권력 투입이나 노조의 자진 해산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게 된 것.
이와 함께 18일 낮 12시 25분 단전에 들어가면서 승강기 운행이 중단돼 사실상 음식물 반입이 불가능하게 됐고 경찰은 단수조치 검토와 함께 공권력 투입을 위한 대책회의를 갖고 있어 강제진압 임박설도 흘러나오고 있다.
정부를 포함, 포스코와 사용자 측인 전문건설협회 등은 건설노조가 포스코 본사 점거사태를 먼저 풀어야만 추후 협상을 할 수 있다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불법 상태에서 노사협상을 하면 좋지 않은 선례를 남겨 다른 현장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반복돼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이 야기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물밑 노사협상과 중재 등은 사실상 중단됐다.
노사협상은 지난 15일 밤부터 16일 새벽까지 마라톤 회의를 가진 뒤 지금까지 만남이 없었고, 앞으로도 사용자 측이 '선 해제'를 요구하고 있어 머리를 맞댈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또 포항시 등의 중재 노력도 거의 사라졌다. 포항시 관계자는 "정부와 포스코, 사용자 측의 강경 입장이 속속 정리되면서 현재 노사 양측을 중재할 엄두를 못 내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한두 차례 다녀간 지역 국회의원이나 시의회, 노동단체 등의 역할도 생색내기 정도여서 현재로서는 중재 역할을 맡을 곳도 마땅치 않은 형편이다.
경찰의 한 간부는 "노동부 장관이 포항을 방문해 중재를 시도하려던 계획이 무산된 것도 불법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정부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포항지역 건설노조의 한 간부는 19일 "사용자 측에서 나서면 언제든지 교섭에 응할 용의가 있으나 어떤 제의도 없다."며 "대안도 제시하지 않고 무조건 해제를 요구하면 응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포스코가 등 뒤에 숨어 있을 것이 아니라 전면에 나서 해결책을 제시해야 사태가 원만히 끝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사 양측이 이처럼 한 발짝도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포항에서는 시민과 민노총 간에 힘겨루기가 본격화되고 있다. 화물연대를 포함한 민노총은 전날 포항시민단체가 주관한 불법규탄 궐기대회에 시민 1만 5천여 명이 참가한 것에 맞서 19일 오후 포항에서 영남권노동자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포항·최윤채 기자 cy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