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역 건설노조원들이 포스코 본사 점거농성 9일만인 21일 새벽 5시쯤 자진 해산했다. 경찰은 현장에서 이지경(39) 위원장 등 체포영장이 발부된 집행부 17명을 비롯해 조합원 128명을 연행해 포항 남·북부경찰서와 경주·경산경찰서 등지에서 분산 조사를 벌이고 있다.
노조원의 현장 이탈은 20일 밤부터 시작됐다. 노조측은 20일 오후 8시쯤 전격적으로 "밤 10시쯤 자진해산하겠다."는 입장을 경찰에 전달했으나 조합원의 사법처리 최소화 및 포스코측이 소송을 제기하지 않는다는 전제조건이 담보되지 않았다며 해산방침을 철회, 통로를 열었던 계단을 재차 봉쇄하는 등 긴장감이 다시 높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해산방침이 알려진 뒤 농성현장은 크게 술렁이기 시작했고 밤 10시를 전후해 30명 가량이 집단으로 이탈하자 지도부의 조직장악력이 흔들리면서 이튿날 새벽 5시까지 모든 조합원들이 현장을 빠져 나왔으며 이 위원장 등 지도부가 새벽 6시 11분 경찰에 연행돼 나오면서 9일간의 점거 사태가 마무리 됐다.
이구택 회장과 윤석만 사장 등 포스코 경영진은 "불법적인 노조활동으로 인해 더 이상 국민경제가 볼모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불법 선동과 폭력을 행사하고 기물을 파손한 데 대해서는 민·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경 대응방침을 밝혔다.
경찰 한 관계자는 "연행자 가운데 최소 50명 가량은 구속 등 사법처리를 면하기 힘들 것"이라며 이들의 구속여부는 22일 오후 중 대부분 결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경찰은 농성현장 조기 이탈자 가운데도 지난 15일 이후 형산로터리 등 외곽에서 시위를 주도하는 등 과격한 행동을 한 조합원은 소환해 사법처리 한다는 방침이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구속자 수가 크게 늘어날 가능성도 높아졌다.
경찰은 또 체포영장 발부자 가운데 현장에 없던 4명에 대해서는 소재파악에 나서는 한편 이날 연행된 사람과 그동안 농성장 이탈자 등을 포함, 포스코 본사를 점거한 건설노조원을 모두 2천435명으로 집계했다. 경찰은 이들의 가담정도에 따라 처벌수위도 조절한다는 방침이다.
노조원들이 농성을 풀고 해산한 21일 오전에도 포스코의 업무는 파행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400여 명의 포스코 직원들은 이날 일찍 출근했으나 경찰이 기물파손 정도와 분실물 여부 등 각종 피해조사를 위해 현장을 보존하면서 직원들의 출입을 막고 있어 빨라도 조사가 끝나는 이날 밤쯤에나 사무실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포스코는 21일 오전 10시 포항 기술연구소에서 이례적으로 공개 긴급이사회를 열어 향후 대책 등을 논의했다. 박우열 홍보팀장은 "22, 23일 주말 연휴 동안 대청소를 하고 컴퓨터 등 설비를 점검해 업무 정상화를 서두른다는 방침이지만 사무집기·비품 등의 훼손이나 파손 등 피해정도가 워낙 커 완전 정상화는 8월 초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현재의 비상근무 태세를 당분간 유지키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민주노총 포항시협의회는 이번 사태가 해결됨에 따라 22일 포항에서 대규모로 열기로 했던 전국노동자대회를 잠정 유보한다고 밝혔다.
포항 최윤채·박정출·이상원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