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각종 토지시장 안정대책에도 불구,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은 2.76% 올라 작년 상반기수준을 능가했다.
행정도시 예정지인 충남 연기군은 9.64% 올라 상승률 1위를 기록했으며 충북 진천, 경북 김천, 충북 음성 등 기업도시, 혁신도시 예정지도 7% 넘는 상승률을 나타냈다. 서울지역도 뉴타운 사업 등의 여파로 4.19%나 올랐다.
25일 건설교통부가 발표한 올해 상반기 토지시장 동향에 따르면 1~6월 전국 지가는 행정도시, 기업도시, 혁신도시, 뉴타운 등 각종 개발사업에 힘입어 작년 동기( 2.672%)보다 0.088%포인트 높았다.
정부의 8·31, 3·30 부동산대책으로 거래는 얼어붙었지만 땅값 상승세는 꺾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광역 지자체 가운데는 용산(4.83%), 성동(4.80%), 동작(4.66%), 강서(4.61%) 등이 뉴타운, 지하철 9호선, 집값 상승의 여파로 오름세가 두드러지면서 서울 땅값이 많이 뛰었고, 충남(4.12%), 충북(3.28%), 대전(2.83%)의 상승세도 여전했다.
개별 지역으로는 행정도시 예정지인 충남 연기군과 공주(7.3%), 진천(9.43%), 김천(7.12%), 충북 음성(7.11%). 청원(6.65%), 전남 나주(6.48%) 등이 급등세를 보였다.
6월 지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진천(1.34%), 나주(1.01%), 서울 성동(0.91%), 용산(0.89%) 등이다. 경남 거제는 토지거래허가지역 후보지로 분류됐다.
하지만 땅값 상승에도 불구, 거래량은 필지 수로 14.8%, 면적으로 30.8% 줄었다.
6월만 놓고 봐도 거래량은 21만1천882필지, 6천384만 평으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6.2%, 44.9% 감소했다. 농지(-50.9%), 임야(-49.2%)의 거래가 급감한 탓이다.
건축물 거래량은 13만 2천32가구로 작년 6월보다 9.7% 줄었으며 실거래가 신고는 14만 30건이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