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친노그룹 '문재인 비토' 지도부 성토

열린우리당 내 '친노(親盧)'그룹들은 4일 문재인(文在寅)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법무장관 기용에 '비토론'을 제기하고 있는 지도부를 겨냥, 일제히 반격에 나섰다.

친노 그룹들은 그동안 '문재인 법무카드' 반대기류에 침묵을 지키고 있었으나 "더 이상 대통령 인사권을 문제 삼아서는 안 된다."며 본격적으로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

특히 김근태(金槿泰) 의장 등 지도부가 문 전 수석 기용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밝힌 것을 두고 "도를 넘어섰다."고 성토, 당청 갈등의 불똥이 우리당 내 '친노' 대 '반노'로 옮겨붙는 듯한 양상이다.

친노 직계로 분류되는 '의정연구센터' 소속 한 의원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당내 반대 기류에 대해 불쾌해 하는 동시에 당혹스러워하고 있다."며 "대통령은 김 의장에 대해서도 섭섭해하고 있다."며 지도부를 겨냥했다.

그는 이어 "김 의장이 기자간담회를 통해 문 전 수석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의도적으로 밝혔다면 상당히 불쾌하다."며 "김 의장이 도를 넘어섰다."고 성토했다.

'국민참여 1219'도 논평을 내고 "당 내부의 인사문제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당 의장과 지도부가 대통령 인사권에 '감 놔라 배 놔라'하는 모습에 실소를 금치 못한다."며 "김 의장과 지도부가 독재·수구세력에 당했던 것과 똑 같은 행동을 하고 있는 것에 분노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참여정치실천연대' 소속 이광철(李光喆) 의원은 "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며 "여론 재판으로 인사 대상자를 확인하고 점검하는 과정은 바람직하지 않다." 며 '문재인 법무카드' 반대기류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의 노혜경(盧惠京) 대표는 "문재인 반대 사유는 합리성과 타당성을 결여한 것"이라며 "김 의장은 코드인사라서 안 된다는 일부 언론의 주장을 왜 당당히 설득하지 않는가?"고 성토했다.

이 같은 친노 그룹의 지도부 성토 기류는 이병완(李炳浣) 대통령 비서실장이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대통령의 인사권은 최대한 존중돼야 한다."고 한 뒤 일제히 터져나온 것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