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앞으로 전시작전통제권의 한국군에 대한 반환 등을 통해 주한미군의 역할이 바뀜에 따라 주한미군 규모를 더 줄이게 될 것이나 추가 감군 규모가 "크지는 (substantial) 않을 것"이라고 미 국방부고위관계자가 7일(현지시각) 말했다.
한미 양측은 또 오는 10월 한미안보연례협의회(SCM) 때까지 전시 작전통제권 반환 문제를 매듭짓는다는 목표 아래 협의를 계속하고 있으며, 반환 시점으로 한국은 2011년을 제의한 반면 미국은 2009년을 희망하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한국군의 전력 증강과 북한의 위협에 대한 평가에 따라 한미 군사관계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작통권 반환 계획에 따라 주한미군은 전투작전에서 지원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는 미국의 해외주둔미군재편 계획 등에 따라 2008년까지 1만2천500명의 미군을 단계적으로 감축, 주한미군을 2만5천명 선에서 유지키로 합의했었다.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주한미군의 추가 감축 가능성에 대해, "아무것도 아직 정해진 것은 없지만 결코 상당한(significant) 규모의 감축을 논의하고 있지는 않으며 실질적인 군사력 증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제한뒤, 여건이 허락할 경우 이미 합의한 2만5천명선 이하로의 감축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주한 미군 감축이 일괄철군 계획에 따른 것이 아니라 "예컨대 미군500명이 맡고 있던 임무가 한국군에 넘어가면 그만큼 숫자를 줄일 수 있으나 다른 임무에 300명을 증원하는 식"의 변동이라면서 "추가(additional) 감축은 가능하지만이는 실질적인(substantial) 감축은 아니며, 전투력에 관한 것도 아니다"라고 못박았다.
그는 또 유엔사령부는 그대로 남아 미군 고위장성이 사령관으로 이를 지휘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미군사령관의 계급 격하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 내 공군 사격장 문제가 "아주 심각한" 사안이라면서 향후 수 개월 내에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주한 미 공군 부대들이 교대로 한반도를 떠나 사격훈련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워싱턴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