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암 진단을 받은 뒤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직하지 않을 경우 유·무급 휴가를 받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암 환자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국립암센터 암관리정책연구부 최귀선 박은철 박사팀은 2001~2003년 암센터에서 위암·간암·대장암 진단을 받은 남성 환자 305명을 대상으로 직업변동을 2년간 추적한 결과 이 같은 조사결과가 나왔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암 진단 이후 사직한 환자가 53%이었으며, 43%는 유·무급 휴가를 냈다. 암 진단 이후 사직한 비율은 간암 환자가 63.2%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위암( 48.4%), 대장암(46.1%) 순이었다.
직업을 상실한 환자의 87%는 암 진단을 받은 지 3개월 이내에 사직을 결행했는데 사무직에 비해 비 사무직 출신 근로자의 직업상실률이 2.4배 높았다.
이처럼 직업을 상실한 환자 가운데 재취업에 성공한 환자는 23%에 불과했다.
간암이 13.5%로 가장 적었고, 위암은 29.9%, 대장암은 31%였다.
유·무급 휴가를 냈던 환자까지 포함해도 직업 복귀율은 56% 정도에 그쳤다. 이는 암 환자에 대한 고용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미국의 직업복귀율 78~80%에 비하면 크게 미흡한 수준이다.
최귀선 박사는 "암 환자의 직업 상실 가운데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40~60대 가장의 소득 상실"이라며 "이는 암 환자 개인을 넘어 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최 박사는 "암 조기 진단과 치료 기술의 발달로 암 생존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암 환자의 직업 상실을 예방하고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법·제도가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