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을 데가 없다.'
이웃 선진국인 일본에서 출산을 앞둔 여성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다. 산부인과 병원과 의사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출산 가능 연령(20-39세) 여성 1만 명당 전국의 산부인과 병.의원 수는 1.69개에 불과하다. 도쿄(東京)나 사이타마(埼玉)현 같은 대도시 지역에서는 1만명당 1개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돼 산부인과 병원난이 특히 심각하다.
일본 산부인과학회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전국에서 산부인과 간판을 걸고 있는 의료기관 가운데 실제 분만을 취급하고 있는 곳은 전체의 65%인 3천56곳이며, 상근 의사 수는 7천873명에 머물고 있다.
그것도 대도시로 집중되고 있어 지방의 경우 진찰이나 출산을 위해 도시로 나갈 수 밖에 없어 불편이 더할 수 밖에 없다. 심지어 그동안 다니던 병원이 갑자기 문을 닫는 바람에 도시의 다른 병원을 찾아 나서야 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산부인과가 의사들로부터 외면 당하고 있는 원인으로는 뜻하지 않은 의료사고로 소송에 휘말려들 위험이 높은데다 긴급 출산의 경우 한 밤중에도 불려나가야 하는 등 24시간 대기해야 하는 격무 등이 꼽히고 있다.
지난 2004년 발생한 의료관계 소송 가운데 산부인과를 상대로 한 것은 총 151건으로, 전체의 13.2%를 차지하고 있다. 산부인과 의사가 전체 의사의 4.7%에 불과한 점에 비춰 피소율이 월등히 높은 셈이다.
일본 정부와 의료 관련 기관에서는 현재 다양한 대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가뜩이나 출산률 저조로 장래 노동력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산부인과 병원 부족으로 출산시 어려움까지 가중될 경우 출산율이 더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큰 병원에 분만을 집중시키는 '집약화'를 추진하고 있다. 의사 수가 많아지면 의사의 노동환경도 개선돼 긴급 제왕절개 수술에도 대응할 수 있는 등 안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집약화가 진행되면서 산부인과 병원이 문을 닫는 지방의 임산부들을 위해서는 진찰시의 숙박비 등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또 의료사고로 장애가 발생한 환자를 구제하는 방안과 함께 의사의 소송 부담 경감대책도 강구하고 있다.
가정적인 분위기에서 자연 분만을 돕는 조산원을 적극 활용하자는 방안도 대책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