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3개 신흥 경제대국 정상들이 13일(현지시간) 브라질 수도 브라질리아에서 '제1회 인도-브라질-남아공(IBSA) 정상 대화 포럼'을 갖는다.
IBSA 포럼은 지난 2003년 창설된 이래 이들 3개국 간 통상, 투자, 과학기술, 에너지 등 분야의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구로 운영돼 왔으며, 그동안 인도 뉴델리와 남아공의 프레토리아, 브라질의 리우 데 자네이루 등에서 3차례에 걸쳐 각료회담 형식으로 열린 바 있다.
그러나 올해 포럼에는 주최자인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브라질 대통령을 비롯해 만모한 싱 인도 총리, 타보 음베키 남아공 대통령 등 3개국 정상들이 처음으로 자리를 함께해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실무그룹을 구성하는 등 이른바 '남남 협력'을 위한 새로운 동력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브라질이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 남아공이 남아프리카 관세동맹(SACU)을 실질적으로 대표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메르코수르 5개 회원국과 SACU 5개국, 그리고 인도까지 포함하는 거대한 자유무역지대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메르코수르는 브라질을 비롯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베네수엘라가 회원국이며, SACU에는 남아공, 보츠와나, 레소토, 나미비아, 스와질랜드 등이 참여하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이미 메르코수르 회원국 정상들의 공동 명의로 SACU와 인도에 FTA 체결을 제의했으며, 상당한 공감대가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포럼에서는 또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확대를 통한 유엔 개혁과 세계무역기구(WTO) 도하개발어젠다(DDA) 협상 문제도 협의돼 앞으로 이들 3개국이 주요 국제현안에 대해 한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기아 및 빈곤 퇴치, 지속가능한 개발 등 현재 범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과제에 대해서도 깊숙한 논의가 이루어져 개도국 및 빈곤국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해 앞으로 국제적 해결을 촉구하는 데도 상당한 힘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BSA 3개국은 앞으로 포럼을 정례적인 정상회담으로 격상시켜 실질적인 협력기구로 발전시킨다 계획이다.
이에 앞서 싱 총리는 12일 룰라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통상 규모 확대 및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투자협정에 서명하는 등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브라질 주재 인도 대사관 측은 이와 관련, "현재 연간 25억∼26억 달러 수준에서 머물고 있는 양국의 교역 규모를 앞으로 5년 안에 최소 50억 달러, 최대 100억 달러까지 늘릴 계획"이라면서 "예정대로 FTA 체결이 구체화될 경우 교역 대상이 메르코수르로 넓어지면서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특히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향후 15년간 브라질 내 유전 개발에 18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하는 등 에너지 부문에 대한 투자를 크게 확대하는 한편 브라질산 에탄올 수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브라질 언론은 중국이 이미 지난 2004년 이후 중남미, 특히 메르코수르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남남 협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기반이 마련된 것을 계기로 앞으로 중국까지 포함하는 신흥 경제대국 벨트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의 IBSA 합류 가능성은 지난해 12월 초 열린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 회담에서 선진국들이 DDA 협상 진전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대상으로 인도-브라질-남아공-중국 등 4개국을 'IBSAC'이라는 용어로 표현한데서도 감지된 바 있다.
상파울루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