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의 말
윤태혁
아픔니까. 사람은 아파야 되지요
싱싱한 나무에도 시든 이파리가
있는 법이지요 아픈 데가 있어야
살아있다는 실감이 나지요.
아픈 데가 없으면
그건 죽은 거나 같습니다
매미소리, 소쩍새 울음, 귀뚜라미소리
그 울음이 있으므로 '자연'을 느끼지요
그 울음은 환자의 울음입니다
아프면 친구나, 먼 친척이 곁을
떠난다는 것을 느끼지요. 점점
조용해질 것입니다. 그럴 때 추억이
되살아납니다. 추억은 아름답고
찬란합니다. 지는 해를 수없이
봐 왔지요. 그러나 해는 또 뜹니다
그것은 아픔을 느끼게 하는 귀중한
원리입니다. 내내 아프십시오.
'병이 들었다'는 '살아있다'의 또 다른 말입니다. '죽음'에는 '병'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러니 '아픔'은 '살아있음'에 대한 자각입니다. 결국 '사람은 아파야' 삶을 실감하게 됩니다. 또한 아프면 주변이 '점점 조용해'집니다. 혼자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된다는 말이지요. '추억이/ 되살아'날 수 있는 여유를 가집니다. 결국 '나'를 돌아보게 됩니다. 이렇게 보면 육신의 병이 '나'를 되살려 주는 것이지요. 자아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픈 데가 없으면/ 그건 죽은 거나 같습니다'라고 시인은 말하고 있습니다.
'아픔'은 '나'를 깨우는 육신의 신호라 하겠습니다.
구석본(시인)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