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소비 지출이 둔화하면서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0.9%에 그쳤다.
작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4.6%에 머물렀으며 2분기 이후 경기 둔화세가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 무역손실액은 18조 8천억 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은이 25일 발표한 '2006년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3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에 비해 0.9% 성장률을 보여 2분기 연속 성장률이 1%를 밑돌았다.
전분기 대비 GDP 성장률은 작년 4분기 1.6%, 올해 1분기 1.2%에 이어 2분기 0.8%로 떨어졌으며 3분기에도 0.9%를 나타냄으로써 2분기 이후 경기 둔화세가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동기 대비 성장률도 4.6%에 그쳐 작년 3분기(4.5%)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을 보였다. 이처럼 성장률이 둔화한 것은 건설투자가 증가세로 반전되고 설비투자가 호조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민간소비와 서비스업의 증가세가 둔화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3분기의 민간소비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0.5% 성장해 작년 1분기(0.5%) 이후 6분기 만에 가장 낮은 성장세를 보였다.
서비스업도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등의 증가세가 주춤하면서 전분기 대비 0.5% 성장하는데 그쳐 2004년 4분기(0.4%) 이후 성장률이 가장 낮았다.
반면 건설투자는 토목건설 투자를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2.3% 성장해 증가세로 반전됐고 설비투자도 3.1% 증가해 호조를 보였다. 이에 따라 내수(제고 제외)의 GDP 성장기여도는 전분기 0.3%포인트에서 1.1%포인트로 높아진 반면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전분기 0.6%포인트에서 0.0%포인트로 낮아졌다.
국제유가 급등의 여파로 교역조건이 악화돼 실질 무역손실액이 18조 7천965억 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 유가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지만 유가 수입 계약 당시 기준으로 지표가 작성되기 때문에 최근의 유가 상황은 4분기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총소득(GDI) 성장률은 -0.2%로 올 들어 1분기(-0.4%)에 이어 두 번째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GDI는 전년 동기 대비로도 1.6% 증가에 그쳤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