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 집행이사회는 8일 중국의 마거릿 챈(여.59) WHO 전(前) 사무차장을 신임 사무총장으로 지명했다.
WHO는 9일 제네바 본부에서 특별총회를 열어 챈 내정자를 5년 임기의 신임 총장으로 정식 임명한다.
특별총회에서 챈 차기 총장 내정자는 193개 회원국의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받아야 하지만, 지금까지 집행이사회가 임명한 내정자를 총회에서 거부된 전례는 없어 사실상 확정된 상태이다.
WHO측에 따르면 후보 5명을 대상으로 이날 오전 진행된 1차 표결에서 챈 후보는 멕시코 보건장관인 훌리오 프렝크 후보와 함께 통과한 뒤, 결선 표결에서 프렝크 후보를 24대 10으로 이겼다.
챈 차기 총장 내정자는 중국인으로서는 유엔 기구 수장을 맡은 첫 번째 인사이다.
의사 출신인 챈 내정자는 홍콩 보건장관으로 재직했을 당시 공공 보건 분야에 전력을 투구했으며, 1997년 세계 최초로 발생했던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처하기 위해 홍콩내 가금류 약 150만 마리에 대한 살처분 결정을 내림으로써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챈 내정자는 조류 인플루엔자가 시작됐던 중국 본토로부터 신속한 정보를 얻는데 실패했던 것으로 알려져 홍콩내에서는 비판을 받았으며, 2003년 발생했던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때에도 나름대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챈 내정자는 캐나다의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78년 홍콩 보건성에 들어가 대부분의 기간을 행정 경력을 쌓는데 바쳤다.
2년 예산이 33억 달러인 WHO의 국제적 위상은 에이즈와 사스, 조류 인플루엔자 등 신종 전염병의 등장과 함께 글로벌 보건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급속하게 올라갔으며, 그 결과 이번 차기 총장 선거에서는 무려 13명의 후보가 등록하고 막판까지 11명의 후보가 치열하게 경합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이번 선거 과정에서는 후보를 낸 일부 국가들이 병원을 지어주고 개발원조를 제공하겠다거나 특정 지역 인물을 사무차장을 임명하겠다는 약속을 통해 표를 매수하고 있다는 논란도 있었으며, 그 결과 WHO 사무총장 경선이 능력 보다는 정치적 고려가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결선에 올라간 두 후보 외에 이날 표결에 참석했던 나머지 후보는 막판까지 추격했던 일본의 시게루 오미(尾身茂) WHO 서태평양 사무처장과 엘레나 멘데즈 스페인 보건장관, 쿠웨이트 출신의 WHO 고위관리 카젬 베베하니 등이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