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경북 경제 통합 '만병통치약' 인가

대구'경북 경제 통합 문제는 올 들어 지역의 話頭(화두)가 됐다. 김관용 경북지사와 김범일 대구시장도 지방선거 이후 당선 인사를 함께 다니며 경제 통합에 대한 의지를 과시했다. 지난 6일엔 대구경북연구원에서 '대구경북경제통합추진위원회' 사무국 현판식까지 마쳤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인지 시도민들은 민선 4기 출범 이후 가장 주목할 변화로 경제 통합 가시화를 꼽았다. 대구'경북 경제 통합을 주도해온 대구경북연구원의 여론 조사임을 감안하더라도 시도민들이 경제 통합에 거는 期待(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방증일 것이다. 하지만 경제 통합만 되면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의 살림살이가 한꺼번에 펴질 것이란 오해도 상당한 것 같아 걱정된다.

경제 통합의 효과와 실상이 잘못 전파되고 있지 않느냐는 老婆心(노파심)에서 다시 한 번 밝혀둔다. 경제 통합은 지역 경제의 어려움을 한꺼번에 치유하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경제 통합은 대구시와 경북도의 행정 통합이 여의치 않은 실정에서 시도하는 몸부림이며, 성공하더라도 지역경제 회생의 디딤돌을 놓는 데 불과하다. 게다가 '모바일특구' 유치 외에 구체적 공동추진 실적도 없는 상태다.

경제 통합 달성에도 곳곳에 암초가 도사리고 있다. 당장 경북 북부권의 오해와 반발에 직면해 있다. 경북도청 이전 문제도 걸림돌이다. 경제 통합을 추진하는 마당에 도청 이전은 분명 악재다. 1990년대 초 경북도의회의 도청이전특위 구성 당시 도청 이전 비용은 2조 3천억~2조 4천억 원으로 추산됐다. 10여 년이 흐른 지금 그 비용은 몇 배로 불어났을 것이다. 도청 이전이 추진된다면 경북도는 경제 통합 문제에 신경 쓸 여력이 없게 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경제 통합'이란 구호가 아니라 內實(내실)을 다질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