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엔 대북인권결의안 투표 하루 연기

16일(이하 현지시간) 오후 유엔 총회 제3 위원회에서 처리될 예정이었던 대북인권결의안에 대한 투표가 하루 연기됐다.

관계기사 3면

총회 제3위원회는 이날 오후 처리 예정이던 11개 안건 가운데 10번째로 대북인권결의안을 처리할 계획이었으나 대북인권결의안 상정 직전 오후 6시까지인 회의시간이 끝나 내일 오전 10시에 나머지 안건들을 처리키로 했다.

이날 제3위원회가 열린 1회의장에는 북한대표부에서 김창국 차석대사 등 3명이 나타나 자리를 지켰으며 한국대표부에서는 최영진 대사와 강경화 국장 등이 회의를 지켜봤다.

이날 총회 제3위원회 회의에 앞서 지난달 북한인권보고서를 발표한 노벨 평화상 수상자 엘리 위젤과 바츨라프 하벨 전 체코대통령, 쉘 마그네 본데빅 전 노르웨이 총리가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의 악명높은 인권탄압에 대한 행동을 재차 촉구했다.

한편 정부는 유엔의 북한 인권결의안 표결과 관련, 처음으로 '찬성' 입장을 밝히기로 결정했다.

정부 당국자는 16일 "정부는 유엔 총회 제3위원회 표결에서 '찬성'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번 결정이 보편적 가치로서의 인권신장에 기여하는 것과 함께 핵실험 이후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는 북한과 국제사회의 인권분야에서의 대화와 협력을 구체적으로 촉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지금까지의 대북 화해협력 정책 기조를 견지하면서 식량권 등 북한 주민들의 실질적인 인권상황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며 이를 위해 국제사회와도 계속 긴밀히 협조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부가 올해 기존의 방침을 바꿔 '찬성'입장으로 선회한 것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선출과 우리 정부의 초대 유엔인권이사국 진출, 한국인의 유엔 인권 부고등판무관 진출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유엔본부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