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배창효의 채타령 스윙타령] 진실의 순간, 임팩트(17)

클럽 페이스 조절로 슬라이스 해결

골프만큼 쉬워 보이는 운동도 없다. 테니스나 야구처럼 어디로 날아올지 모르는 공을 쳐야 하는 것도 아니고 축구처럼 발로 공을 몰며 상대를 피해 다녀야 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잔디 위에 가만히 놓여져 있는 작은 공을 그것도 남의 방해를 받지 않고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칠 수 있는, 지극히 개인적인 스포츠가 바로 골프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은 공을 똑바로 날려 보내기가 결코 쉽지 않다. 스윙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으면 신경질적으로 즉각 반응하는 것이 골프 공이다. 특히 공을 멀리 똑바로 날려보내야 하는 드라이버의 경우는 더 어렵게만 느껴진다.

대부분의 주말 골퍼들에게는 드라이버를 들고 페어웨이를 쳐다보는 순간이 가장 부담스럽다. 눈은 페어웨이 한 중간을 보고 있지만 마음은 오른쪽 OB를 걱정하게 된다. 머리 속에 그리는 샷(shot)이 이미 슬라이스(slice)인 것이다. 슬라이스는 공에 시계 방향의 사이드 스핀(side spin)이 걸려 오른쪽으로 크게 휘는 구질을 말한다. 주말 골퍼들은 대체로 공 위치를 좀 더 왼쪽으로 옮겨 놓는 것으로 이 슬라이스를 해결하려 하지만 오히려 공은 왼쪽으로 출발하여 오른쪽으로 더 크게 휘어져 나가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떤 골퍼들은 처음부터 클럽 페이스(club face)를 닫아 놓고 어드레스를 해보지만 여전히 오른쪽으로 휘어져 나가는 무심한 공은 어쩔 수가 없다.

아이러니하게도 슬라이스로 고생하는 골퍼들 대부분이 클럽 페이스가 목표에 직각이 되도록 공을 때리려고 애를 쓰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어드레스 때 클럽을 최대한 직각으로 놓으려고 하거나 심지어는 닫아보기도 한다. 그런데 실제로 클럽 페이스가 공을 만나는 순간은 약간 열려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임팩트 순간 골프 공은 상당히 찌그러지는데 이는 공이 짧은 시간이지만 클럽페이스에 머물러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사진 1).

이 순간에 클럽 페이스가 닫히면서 공이 떠나는 순간 직각이 되면 공에 사이드 스핀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고 만일 클럽 페이스가 열리면 슬라이스가 나게 된다. 즉, 정상적인 구질은 클럽 페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임팩트를 향해 들어와 닫히며 임팩트를 빠져나가야 가능하다는 것이다(사진 2).

따라서 슬라이스를 고치기 위해서는 오히려 오른쪽 OB를 향할 정도로 클럽 페이스를 과감히 열어 놓고 어드레스를 해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조금은 과장된 방법이지만 닫아놓고 열면서 치는 것이 아니라 열어놓고 닫으면서 쳐보는 것이 클럽 페이스를 정확히 다루는 연습이 되기 때문이다.

배창효 스윙분석 전문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