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설협회 권홍사 회장이 현재 여당과 정부과 논의중인 분양가 상한제 도입에 대해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권홍사 회장은 19일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분양가 상한제는 소 뿔로 장난치다 소만 죽이고 마는 교각살우(矯角殺牛)와 같다"며 "분양가 상한제는 주택시장에 도움이 되지 않고 시장경제에 어긋나는 잘못된 정책"이라며 반대 의견을 분명히했다.
권 회장은 "과거 분양가 상한제를 시행했을 때도 시민단체 등은 우리 아파트는 '성냥갑'과 같다며 비판이 많았다"며 "시대 흐름을 역행하면서 상한제를 도입하려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질타했다.
권 회장은 "상한제가 시행되면 뚝섬 상업용지를 평당 7천만원에 분양받은 업체는 영원히 아파트를 지을 수 없게 된다"며 "대선을 의식한 당리당략 때문에 실현 가능성 없는 제도로 국민을 현혹시켜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의중인 '반값 아파트'에 대해서는 "토지공사가 택지조성할 때 인프라를 넣지 않고 수용 원가 그대로 공급하고 용적률을 500-600%까지 높이면 가능할 일"이라며 "하지만 주거환경이 열악해지고 환경단체 등에 반발에 부딪혀 현실적으로는 실행에 옮기기 어려운 제도"라고 주장했다.
정부의 신도시 개발 방식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권 회장은 "싱가포르 등 외국의 경우 개발 계획 발표 전에 정부가 토지를 매입하는데 우리는 인천 검단신도시를 보더라도 무조건 발표부터 해버려 토지를 수용하기도 전에 가격이 오르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며 "먼저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택지를 매입하는 등 백년대계를 내다본 주택정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 회장은 이어 "실제 시공능력은 없으면서 경쟁만 유발하는 1만3천여개에 이르는 서류상의 건설회사(페이퍼컴퍼니)를 정리하는 작업이 내년부터 본격화될 것"이라며 "정부 정책에 앞서 건설사들이 먼저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 회장은 "내년 국내 건설시장은 공공부문 공사 발주가 조금 늘지만 민간 건축 부문은 침체를 면치 못할 것"이라며 "내년에도 올해 160억-170억 달러의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해외건설 시장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