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도로 곳곳이 야생동물의 '무덤'이 되고 있다.
대구지방 환경청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동안 대구.경북 왕복 4차로 이상 19개 노선 27개 구간에서 차량 등과의 충돌사고로 희생(로드 킬)된 야생동물이 총 42종 544마리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60마리, 하루 평균 2마리의 야생동물이 도로에서 죽음을 당한 셈이다.
이중 법정보호종은 총 9종으로 멸종위기 야생동물 3종 21마리, 천연기념물이 8종에 53마리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로는 소쩍새가 24마리로 가장 많이 희생됐고 황조롱이 14마리, 수달 4마리 등이 뒤를 이었으며 멸종위기종으로는 삵이 16마리로 가장 많은 사고를 당했다.
또 꿩이 80마리로 가장 많았고 포유류로는 비교적 활동성이 높은 너구리가 70마리였다. 이밖에 비둘기 62마리, 족제비와 고라니가 각 51마리, 토끼 38마리 등이었다.
로드킬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포유류의 경우 어미로부터 독립하는 10월, 조류는 8월, 파충류와 양서류는 7월이었으며 반면 4월의 사고빈도가 가장 낮았다.
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도로는 지난해 개통된 수성IC~청도IC구간으로 야생동물들이 먹이섭취와 번식을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형변화를 모른 채 도로를 횡단하다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현풍 IC~ 옥포JC, 김천JC~ 문경새재 IC 구간의 고속도로와 달성논공~고령과 안동~상주 간 국도에서도 많이 발생했다.
로드킬이 이처럼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야생동물의 이동통로가 턱없이 적기 때문. 현재 고속도로를 포함, 대구.경북 도로구간에 설치된 야생동물 이동통로는 대구~포항간 4곳 등 14곳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대구환경청은 로드킬 빈발 지역에 대한 야생동물의 이동통로 확충과 유도펜스 설치, 보호표지판, 침입방지 시설 설치 등 대책수립을 관계기관에 요청할 예정이다. 또 자동차 네비게이션 제작회사에 로드킬 빈발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 로드킬 발생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정문영 대구환경청 자연환경과장은 "사소한 로드킬 사고가 자칫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사고를 줄여나가겠다." 고 말했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