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새 국제공항' 向方(향방)을 둘러싸고 이상한 낌새가 감지되고 있다. 영남권이 함께 쓰고 그 전체의 발전을 견인할 '영남권 신공항'이 당연할 줄 알았더니 "그게 아니올시다" "내 욕심은 딴 데 있었소" 하는 목소리가 공공연해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허남식 부산시장의 지난 16일 오전 강연이 가장 선명한 代辯(대변)이었다. "새 국제공항은 부산 가덕도 신항만 지역에 인접해 건설되도록 하겠다"고 한 것이다. 신항만 3천만 평과 신공항 3천만 평 등으로 국제자유도시를 만들겠다고도 했다.
지목된 새 공항 입지는 부산 서부지역 혹은 鎭海(진해) 어간이 될 터이다. 허 시장은 거기 공항을 세워 "대구'경북까지 포괄하는 대동남경제권의 중추기능을 담당토록 하겠다"고 했다. 참으로 놀라운 발언이다. 지금의 김해공항보다 더 멀리 바닷가로 치우쳐 있게 될 그 공항이 어떻게 대구'경북의 所用(소용)에 닿을 것이라 말하는지 배포가 경탄스러울 지경이다. '영남권 허브 공항'이란 명색으로 대구'경북을 이용한 뒤 종국엔 '남부권 공항'으로 변질시키겠다는 음모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그럴 가능성은 진작부터 의심돼 오던 바이기도 했다. 중앙정부가 경북권을 배제한 채 남해안-서해안만 연결하는 L자 개발에 주력하는 것이 그렇고, 그쪽 지방정부 장들이 나서서 전라남도까지 연결하는 남해안 開發軸(개발축)을 홍보하는 저의도 미심쩍었다.
문제는 결국 대구·경북이다. 더 이상 순박하게 信義(신의)나 내세우다간 정말 '닭 놓치고 지붕이나 쳐다보는 개' 꼴 되지 말라는 법이 없다. 명확히 선을 그어야 할 시점에 도달한 것이다. 20여일 전의 노무현 대통령 약속에 따른 공항 '공식 검토' 작업도 마침 본격화됐다고 한다. 더 늦기 전에 새 공항의 본질부터 명확히 하고 입장을 정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
한동훈 "尹 돈 필요하면 뇌물받지 왜 마약사업?…백해룡 망상, 李대통령이 이용"
"김현지 휴대폰 교체한 적 없어" 대통령실 대신 더불어민주당이 반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