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이상천 도의회 의장의 정치적 계산

경북도의회 이상천 의장이 30일 도청이전 조례안 상정 여부를 논의하기 위해 의원 총회를 소집해놓고 정작 찬반의견은 들어보지도 않은채 조례안 상정을 직권으로 보류한 것은 도민의 숙원사업을 자신의 정치에 이용한 것이란 비판이 일고 있다.

이날 의총은 찬반토론을 거쳐 조례안 상정을 표결로 결정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이 의장은 이같은 예상을 뒤엎고 의장 직권을 내세워 일방적으로 상정을 유보했다. 그는 이유로 '일부 도의원들이 조례안의 내용을 잘 몰라 검토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내세웠다.

그러나 이같은 설명은 구차하기 짝이 없다. 도의원들이 이해하지 못할 만큼 조례안이 어렵지도 않을 뿐더러 지난 해 10월 김기홍(영덕) 도의원의 대표 발의부터 지난 26일 의회 사무처가 조례안 내용을 우송할 때가지 무려 6차례에 걸쳐 내용을 통보했고 그 사이 언론이 여러차례 보도까지 한 내용을 모른다는 것은 말이 안되기 때문이다.

더욱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내용을 잘 모른다는 의원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조항, 어떤 문구가 이해가 되지 않거나 불합리하다고 적시하지 않고 무작정 잘 모르겠다고 하는 말을 그대로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이처럼 이 의장이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이유를 들어 조례안 상정 보류라는 무리수를 둔 것을 두고 지역 정치권은 내년 총선 출마라는 정치적 포석이 자리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즉 내년 총선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지지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한데 도청 이전이 좋은 재료라는 것. 즉 현재 여러가지 정황상 동부지역으로 도청이 이전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는 상황에서 어떻게든 동부지역으로 도청을 옮겨보려고 노력했다는 '제스처'라도 해보자는 것이 그 배경이고 그래서 나온 것이 직권 상정 보류란 설명이다. 이런 분석에 대해 이 의장은 억울해할 수 있겠지만 '직권 상정보류'는 이런 분석까지 나올 만큼, 납득할 수 없는 처사였음은 분명하다.

정경훈 정치부 차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