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국가 이미지 홍보 대책 마련돼야

세계 각국의 교사와 학생들에게 유엔의 홍보를 위해 유엔이 공식 운영하는 국가정보 웹사이트 '사이버 스쿨버스'가 東海(동해)를 '일본해'로 단독 표기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더욱 우리를 경악게 하는 것은 '지도에 표기한 이름과 경계 문제는 유엔의 공식적 승인과 입장이 아니다'고 밝히고 있으면서도 일본해를 단독 표기한 지도를 게시해 유엔 스스로 국제 規範(규범)을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엔은 1977년 유엔 지명표준화회의에서 2개국 이상에 분할되어 있는 지형물에 대해 당사국 합의가 없으면 지명을 모두 수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처럼 유엔이 스스로 국제지도 제작의 일반 원칙을 무시하고 있는 것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생각만큼 높지 않거나 이를 바로잡으려는 우리의 노력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는 국가 이미지와 직결된 문제라는 점에서 정부와 국민 모두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비단 地名(지명) 논란뿐만 아니다. 현대는 '자기PR시대'라고들 하지만 정작 우리의 경우 외국인들에게 자기를 알리는 데 너무나 소홀한 실정이다.

전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위성 지도검색사이트인 구글어스에서 이미지를 검색하면 우리가 얼마나 자기를 알리는 데 무심한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 도시의 사진, 지도 등 각종 자료를 검색해보면 한마디로 초라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일본 도쿄만 해도 58만여 점의 사진과 자료들이 올라와 있고, 베이징도 45만여 점이나 검색된다. 중국 지방도시인 선양만 해도 6천700여 점인 데 비해 서울이 2천300여 점, 부산이 150여 점에 그치고 있다. 인구 250만 명에 가까운 대구시의 경우 고작 53점에 불과해 낯이 뜨거울 지경이다.

조속히 정부 차원에서 이 같은 실태를 면밀하게 조사하고 사명감 있는 민간단체들로 하여금 체계적으로 국가 이미지 弘報(홍보)에 나설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국정홍보처는 거액의 예산을 들여 TV광고로 정부 정책홍보에만 열을 올릴 것이 아니다. 전 세계 네티즌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다 손쉽게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한국의 이미지는 현재보다 몇 곱절 더 높일 수 있다. 국가 이미지가 바로 '브랜드 파워'인 시대다. 정부의 철저한 대책 마련과 국민적 관심을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