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4월 24일 광주 북동천주교회에서 경찰과 대치하며 700여 농민들이 단식투쟁을 벌인 '함평 고구마 사건'은 결국 농협 측이 보상을 약속하면서 종결됐다.
이 사건의 발단은 76년 9월 농협이 빼때기(얇게 썰어 말린 건고구마) 대신 생고구마를 사들이겠다는 방침 때문, 농민들은 가마당 300~400원씩 이익을 기대했다. 당시 고구마 농가는 주정(에탄올)을 만들기 위해 고구마 빼때기를 농협에 납품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농협에서는 수매기를 한참 늦춘 다음에 원래 약속했던 양의 40%밖에 사들이지 않았다. 결국 나머지 고구마는 빼때기를 만들지도 못해 썩거나 떨이로 팔려나갈 수밖에 없었다.
이에 분노한 농민들은 농협을 상대로 보상운동을 전개했고, 정부는 농협을 비호하고 '긴급조치 9호'를 내세워 진압하려 했다. 농민 쪽에서는 다른 지역의 농민 및 천주교, 기독교 단체들과 연대하여 투쟁을 전개했다. 더욱이 피해보상 이후 농협이 주정업자와 결탁해 80억 원을 유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언론에 '단군 이래 최대 부정'으로 알려진 이 사건은 이듬해 터진 '경북 안동 감자 사건'( 오원춘 씨 납치사건)과 함께 대표적인 70년대 농민운동이었다.
▶1970년 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중국1호' 궤도진입 ▶1898년 스페인, 미국에 선전포고
정보관리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