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공공시설 소방 안전 불량 많다

최근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소방체험 행사 도중 안전사고로 일부 학부모가 참변을 당한 가운데 지역 내 공공기관의 소방 안전 장치 상태도 극히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경우 지난 3년간 총 23건의 지적 사항이 발생, 서울·경기를 제외하고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지적을 받았고 대구도 1건의 시정명령을 받았다.

특히 시정명령을 받은 사항이 출입문·소방설비 불량 및 소화기 미설치 등 극히 초보적인 소방안전 규칙이어서 작은 재난에도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국회 행정자치위원회가 최근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지난 3년간 공공기관 소방안전점검 결과'에 따르면 경북의 경우 총 21건의 '시정명령'과 2건의 '기관통보' 조치를 받았다.

이 중 10건은 학교시설로, 영흥초교(감지기 미설치), 흥해초교(감지기 불량), 계림초교(소화전 사용표시 미설치), 연안초교(감지기 선로불량), 계림중(옥내소화전 불량), 월성중(옥내소화전 불량), 삼성생활예고(연기감지기 불량), 감포종고(옥내 소화전 미설치), 경주대(수신기 예비전원 불량), 영남대(도서관 출입문 불량) 등이 시정명령을 받았다.

이 밖에 경주경찰서(펌프 표시등 선로단선), 김천역(소화전 방수구 유효반경 초과), 김천 시의회사무국(소화전 미설치) 등 공공기관은 물론, 유아시설인 자연유치원(소화기 비치 외 15건)도 시정명령 및 기관통보 조치를 받았다.

한편 대구는 출입국관리사무소가 지난 2월 피난유도등 미설치, 자동화재 탐지설비 불량 등 4건이 지적됐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