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자기열차 불발, 자신감 꺾여선 안된다

대구시가 사업비 총 4천500억 원 규모의 자기부상열차 시범사업 유치에 실패했다.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은 어제 대구, 인천, 대전, 광주 등 4개 도시가 경합한 시범사업의 우선협상도시로 인천을 선정했다. 대구는 고속철, 지하철 연계와 2011년 세계육상대회 홍보를 내세웠고, 인천은 2014년 아시안게임과 나라의 관문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건설비 분담률 제안과 추진의지에서 대구는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한다.

이번 결정은 정부나 평가위원들의 수도권 중심 시각을 다시 한 번 노출시킨 것이다. 정부가 지방 균형발전을 염불 외듯 하지만 정작 시책 결정 때는 수도권 편향으로 돌아서는 게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수도권 중심으로 짜인 평가위원들의 팔도 안으로 굽은 것처럼 보인다. 정부의 정치적 결정에 대한 의구심도 없지 않다. 이래서는 지방 균형발전은 백년하청이다. 지방에 가산점을 주는 등의 적극적 시책의지 없이는 지방을 들러리로 만들 뿐이다.

대구시는 이번 탈락으로 마음의 상처를 입게 됐다. 세계육상대회 유치로 모처럼 고양됐던 시민들의 자신감이 크게 저상되지 않을까 걱정된다. 그러나 곰곰 생각해보면 그렇게 억울해 할 일도 아니다.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가 언제 대구를 제대로 챙겨줬던가. 세계육상대회 유치도 말이 정부지원이지, 대구시 자력으로 일군 기적이었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대한 정부의 편향적 지원 태도를 보면 이 정권 동안 대구가 쓸데없는 기대를 가져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주눅들 필요 없다. 다시 시작하면 된다. 이런 냉대와 편파성을 극복하고 더욱 열심히 국책사업들을 챙겨야 한다. 언젠가 자기부상열차 본 사업에도 도전할 수 있다. 대구시는 시민들의 마음을 달래고 더 집요하고 공격적으로 각종 국책사업 유치에 힘써주기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