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 후보의 '대구경제 살리기' 공약에 맞춰 자체 대선 프로젝트를 보완, 대선공약 일체화 작업에 들어갔다.
이는 시가 지난달 ▷동남권 신공항 건설 ▷지능형 자동차산업 육성 ▷건강산업도시 조성 ▷광역전철망 건설 등 10개 대선공약을 발표했으나 이 후보의 대구경제 살리기 8대 공약에 일부 프로젝트가 빠져 있거나 다른 내용이 포함됐기 때문.
시에 따르면 이 후보의 공약 8건 중 모바일이노벨트 조성 등 6건은 그대로 반영됐지만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국가산업 내륙항구도시 건설 등 공약 2건은 프로젝트에서 빠져 있다는 것.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관련, 이 후보는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국가산업단지가 없는 대구에 내륙항구와 연관된 990만㎡ 규모의 국가산업단지를 만든 뒤 로봇산업과 항공우주 부품소재 등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공약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시는 대구 인근 시·군을 국가산업단지화하는 방안과 지역 내 서대구공단과 3공단을 리모델링한 뒤 국가산업단지화하는 방안을 동시에 검토 중이다.
또 내륙항구도시 대구 건설 및 대기업 유치에 관한 이 후보의 공약은 지역 내 또는 인근 시·군에 내륙항구를 만들 수 있는 적정 부지를 찾기로 했다.
이 후보의 공약에 누락된 건강산업 메카건설과 문화창조산업 육성, 교육학술중심도시 조성 등도 연구·검토를 거쳐 대선공약화하기로 했다.
이밖에 국제지식산업단지 조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해 교육·의료지식산업 도시로 육성하고, 경제자유구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내륙도시에도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건의한다.
시는 이를 위해 30일 지역 국회의원과 학·관·언론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프로젝트 보고회를 열고 공약과 프로젝트를 재점검한 뒤 이 후보 측에 공식 제안할 방침이다.
박봉규 대구시 정무부시장은 "이 후보 공약과 시 프로젝트의 일체화 작업이 필요하다."며 "분야별 태스크포스팀의 연구결과와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후보 측과 교통정리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