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의원도 '학력 부풀리기' 파문

정종복·이재오·박순자·한명숙·염동연…선관위 "처벌 대상 안돼"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도 허위 학력 파문에 시달리고 있다.

한나라당 정종복(경북 경주) 의원은 국회수첩에 동국대 사회과학대학원 석사 졸업이라고 기재했으나 동국대 경주캠퍼스 사회과학대학원 내 최고경영자과정 1년 수료인 것으로 드러났다. 정 의원은 20일 "주변 사람들의 권유로 대학원 과정을 다니게 됐으며 크게 경력으로 활용할 생각도 없었다."며 "국회수첩의 짧은 면에 다 집어넣어야 하다 보니 면밀히 검토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경북 영양 출신 한나라당 이재오(서울 은평을) 최고위원도 학사 학위 과정과 군복무 기간이 겹쳐 논란이 되고 있다. 정식 대학은 아니지만 학사 학력이 인정되는 중앙농민학교 재학 기간이 1966년부터 1970년 2월까지인데, 1969년 육군병장 제대를 해 군입대 기간에 재학중이었다는 결론이 나오기 때문. 이에 대해 이 의원 측은 "당시 대학 교수들의 배려 덕분에 군 복무 중 학적을 계속 유지할 수 있어 1970년에 졸업할 수 있었다."고 답변했다.

경북 군위 출신 한나라당 박순자(비례대표) 의원은 하와이주립대 학사라고 기재했다가 이달 초 연수했다고 고쳤다.

한편 지역출신은 아니지만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경선 후보였던 한명숙 전 총리는 '일본의 이화여대'라 불리는 오차노미즈 대학 박사 과정을 마치지 않고도 수료라고 프로필에 공개해왔던 사실이 드러났으며, 한나라당 박성범(서울 중구) 의원도 고려대 중퇴를 졸업한 것처럼 학력란에 게재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염동연(광주 서갑) 의원은 세간에 '학위공장'으로 알려진 비인가 대학인 퍼시픽웨스턴 대학원 석사 학위를 받아 논란이 되고 있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선거 운동 기간에 벽보 등에 홍보한 학력이 허위일 경우 처벌할 수 있지만 국회 수첩 허위 기재는 공소 시효(6개월)가 지났기 때문에 처벌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