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 연암 박지원과의 동행

나는 청나라 고종의 칠순 잔치 하객인 연암 박지원의 문장을 따라 거대한 대륙 청(淸)으로 들어갔다. 낯선 대륙의 문물을 실용적인 학문으로 접목시키려 했던 그의 호기심은 만리장성의 위용이나 화려한 아방궁이 아니라 보잘것없는 한 장의 기왓장과, 여자들의 전족과, 그곳의 기후에 집중했고 그의 문체는 당당하고 섬세했다.

이 당당하고 섬세한 조선의 남자와 동행하는 동안 나는 행복했다. 한 컷의 작은 스냅도 그의 언어 속으로 들어가면 생명력을 얻어 새롭게 깨어났고 그의 입을 통해 정립된 언어들 모두 깊고 진솔한 사상의 정수였다. 긴 여행을 거치면서 그는 끊임없이 정신의 순수 발원지가 어디인지 이 세계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이야기했다.

최상의 가치에 근접하기 위해 우리는 세계의 본질을 말하고 언어를 동원한다. 그러기 위해서 18세기 조선의 남자 연암은 끊임없이 사색하고 기록했다. "…그는 이내 술 두 잔을 손수 따라서 내게 권한다. 나는 계속해서 술 두 잔을 마셨다. 그가 내게, '만주 말을 할 줄 아십니까?'라고 묻기에 나는 '잘 모릅니다'라고 대답했다…(중략)…물살은 아주 빠른데 배따라기 소리를 다같이 불렀다. 사공이 노력한 덕분에 배가 살별(彗星)이나 번갯불처럼 빨리 달린다. 잠깐 아찔한 순간에 하룻밤이 지나간 것 같았다."('열하일기'에서)

박지원의 산문은 금세 시공을 초월하여 내게로 건너왔고, 내 안에 집을 지었고, 나는 그의 문장 속에 갇혀서 가을을 보낸다. 그가 혜성처럼 빠르게 보낸 하룻밤을 나도 보냈고 그가 건넌 빠른 세월의 강을 나도 건넌다. 소멸하고 생성하는 것들 모두 이 강물 속에 있고 반짝이거나 어두운 것들 다 이 강물 속에 녹아있다. 사람들은 모두 거기서 절망하고, 절명하고, 영원을 꿈꾼다.

18세기 어느 여름 밤 연암은 낯선 문물과 살 같은 세월의 속도를 온몸으로 받아들이면서 고뇌하고 성찰했다. 그와 나는 21세기 내 작은 방에서 만났고 금방 죽이 맞았다. 조선의 남자 연암 박지원은 해학과 섬세함으로 그의 여정에 나를 끌어당긴 셈이다. 뜨겁고 비루한 여름밤을 배는 아찔하게, 우기의 세찬 강바람에 흔들린다.

도대체 이 낡고 작은 배로 어떻게 멀고 먼 대륙에 닿을 수 있단 말인가. 인간의 언어로 어떻게 세계의 본질을 말할 수 있단 말인가. 열하일기는 시공을 초월해 삶이라는 끝없는 대륙을 항해해 갈 것이다. 이것은 곧 사상가이자 조선 최고의 문장가 박지원의 힘이고 고전의 힘이다. 이 배에 동승하는 동안 나는 행복했다.

송종규(시인)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