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벼 수매장에 첫선을 보인 800kg들이 대형 벼 포대(일명 톤백)에 농민 2명이 깔려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 톤백 사용에 비상이 걸렸다. 톤백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이번이 처음이다.
5일 오후 2시 40분쯤 상주시 중동면 모 영농조합법인 저온저장창고에서 수매한 벼 포대를 4단 높이로 쌓던 중 톤백 3포대가 미끄러져 떨어지면서 밑에서 일하던 A씨(53·상주시 헌신동)가 깔려 병원으로 이송 도중 숨졌다. 또 옆에 있던 B씨(54·중동면 오상리)도 함께 깔려 늑골골절 중상을 입고 병원에 입원 치료 중이다.
올해 처음 수매용 벼포대로 사용된 800kg들이 톤백은 콤바인에서 수확한 벼를 곧바로 담아 수매장으로 옮긴 뒤 지게차로 쉽게 처리할 수 있고 1t 차량에 40kg들이 포대 20~30개를 싣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인 3개를 싣고 옮길 수 있어 적극 권장되고 있는 형편이다.
상주·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