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것이 궁금하다-경제자유구역

기존 인프라 활용해 '지식서비스산업' 허브로

경제자유구역(Free Economic Zone)은 외국인 투자를 끌어낼 목적으로 조정하는 일종의 경제특구다. 특구 안에서 외국인 투자가 이뤄지면 파격적인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공장을 짓기 위한 갖가지 행정절차도 최소화하고, 국세 및 지방세도 몇 년간 면제해주며 국내 기업과는 달리 노사 문제도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단순히 기업 유치여건만 좋아진다고 해서 외국 자본과 외국 기업이 들어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교육, 의료 등도 외국인 입맛에 맞춰 제공하게 된다.

대구'경북FEZ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대구, 구미, 경산, 영천 일원 10개 지구 3천475만 ㎡(1천 53만 평)에 4조 632억원(국비 5천 990억 원, 지방비 1조 216억 원, 민자 2조 4천 426억 원)이 투입돼 개발될 예정이다. 지원 금액이 기존 FEZ에 비해 훨씬 적다. 특히 국비는 10분의 1도 채 안된다. 이유는 기존 물류, 생산, 하드웨어 중심의 자유구역과는 달리 지식기반산업 유치를 위한 지식창조형 FEZ이기 때문. 구미, 경산, 영천을 포함하는 대구권은 20여 개 대학에서 연간 수만 명의 인력을 배출하고, 6개 대학병원과 모바일, 지능형자동차부품, 게임산업 등 지식 기반산업이 강하다. 게다가 대구혁신도시에 교육 및 학술, 산업지원 관련 12개 공공기관도 이전하기 때문에 효과는 극대화할 전망이다.

쉽게 말하자면, 기존에 조정된 물적'인적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고 그런 기반 위에 교육, 의료, 문화산업 등 지식서비스산업 허브를 구축한 뒤 첨단제조업종의 외자유치를 이뤄내겠다는 뜻이다. 지구별 주요사업을 보면 확연히 그림이 드러난다. 대구수성의료지구(수성구 대흥동, 고모동, 이천동 180여 만㎡)에는 국제적인 교육 및 R&D 시설과 업무단지, 외국인 주거단지, 의료관광시설 등이 들어선다.

경산학원연구지구(경산 하양읍 대학동 564만㎡)에는 외국 대학단지, 국제에듀파크 등이 입주하고, 구미디지털산업지구(구미시 산동면 626만㎡)에는 모바일 R&D와 IT 전문대학원, 국제업무 및 교육단지, 배후주거단지를 만들 계획이다.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금호읍 구암리 166만㎡)에는 하이브리드 부품소재 중심의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R&D센터, 기업지원센터도 설립할 계획이다.

대구경북연구원 등 연구기관의 분석에 따르면 FEZ사업에 따른 파급효과는 생산유발이 69조 원에서 99조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28조 원에서 58조 원, 고용창출 효과가 12만6천 명에서 17만3천 명선으로 추정된다. 신경섭 대구시 경제정책팀장은 "지금까지 추진이 흐지부지했거나 계획만 세웠을 뿐 전혀 진척이 없던 지역 핵심사업들이 FEZ라는 큰 틀에서 유기적으로 움직여 나갈 것"이라고 했다.

올해는 우선 2월까지 경제자유구역청 설립을 위한 조합 규약을 만들어야 한다. 경제자유구역청은 대구시와 경북도가 참여하는 일종의 조합형태로 만들어지며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제 3의 기관이 된다. 3, 4월 지자체별로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5월 중에 행정자치부 승인을 거쳐 7월 중 경제자유구역청을 열 계획이다. 청장은 외부 인사를 영입할 예정이고, 직원들은 시'도 공무원이 파견되고 아울러 외부 전문가를 계약직 형태로 영입하게 된다. 현재 대상지 선정 단계인 FEZ를 지정받는 작업도 상반기 중 이뤄진다.

김수용기자 ks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