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비용 가운데 372억 4천900여만 원을 보전해줄 것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신청했다고 선관위 측이 10일 밝혔다.
이는 각 당이 대선비용을 보전받기 위해 선관위에 제출한 대선비용 보전신청서에 나와있는 수치로, 선관위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실사를 통해 신고액수가 맞는지 검증한 뒤 총 유효투표수의 15% 이상 득표후보에 대해서는 비용 전액을, 10% 이상 득표후보에 대해서는 절반을 2월 말쯤 돌려주게 된다.
대선에서 48.7%의 득표율을 기록한 이 당선인은 보전신청액 가운데 방송·신문광고, TV 연설 등 홍보관련 비용으로 230억 원가량을 쓰고 유세비용에 70억여 원, 선거사무원 수당 및 실비 등에 68억 원 정도를 지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전 대선후보는 이 당선인보다 18억 원가량이 많은 390억 7천만 원을 보전해줄 것을 신청했다. 신청액 가운데 선거사무원 수당이 95억여 원, 방송광고 등 홍보비가 80억여 원, 유세비용이 74억여 원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15.1%를 득표한 이회창 무소속 전 대선후보는 홍보비용 41억 5천만 원, 유세차량 대여비 29억 5천만 원, 중앙 선거사무원 수당 1억 3천만 원 등 모두 138억 4천500만 원을 보전 신청했다.
창조한국당과 민주노동당, 민주당은 대선후보들의 득표율이 10%를 넘지 못해 선거비용 보전 신청을 하지 않았다.
한편 중앙선관위는 이날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선관위에 기탁된 정치자금 49억 2천400여만 원을 7개 정당에 배분했다. 기탁금을 가장 많이 배분받은 정당은 대통합민주신당으로 20억 8천700여만 원(42.4%)을 지급받았고, 이어 한나라당 20억 1천500여만 원(40.9%), 민주노동당 3억 6천100여만 원(7.4%), 민주당 3억 4천100여만 원(6.9%), 국민중심당 1억 1천100여만 원(2.3%), 참주인연합과 창조한국당 각각 323만여 원(0.07%) 등의 순이었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