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이 옮겨갈 신도시 유치 신청이 몰리기 시작했다. 접수 창구는 보름여 전 열렸으나 실제 신청은 오늘에야 처음 이뤄진 것이다. 마감날이 하루 뒤로 닥쳤으니 내일이면 창구가 더 바빠질 터이다. 12개 정도 시'군이 후보로 예상됐지만 막판 연대로 숫자가 줄 소지가 있다는 관측도 있다. 합종연횡의 첫 케이스는 어제 결단한 안동'예천이다. 상주도 구미'의성과의 연대를 기대하고, 포항'영천'경주는 신청 후 공조를 모색한다고 했다.
이렇게 유치전이 피크를 향해 치달으면서 덩달아 걱정이 커지는 게 이전지 결정 후유증이다. 각 시'군의 앞날을 가를 만큼 위력적인 신도시가 하나 생겨나고 말고 하는 일이다 보니 각 지역이 과도하게 집착할 위험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미 정해진 적격성 평가 기준들을 놓고 불만이 표출돼 온 것에서 그럴 조짐은 감지된 바 있기도 하다.
물론 부작용을 사전 차단할 책임은 누구보다 앞서 이전 추진위에 있을 것이다. 도민 전체의 이익을 무엇보다 중시해 이전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흔들리지 않는 중심추가 돼야 하는 게 그 기구이기 때문이다. 다른 어느 도청처럼 옮겨 놓고도 자족적 신도시 건설 효과를 못 내는 일이 있도록 해서는 안 되는 것도 그렇다.
그러나 전체 23개 시'군 중 절반 가까운 숫자가 유치에 나섰다가 탈락했다고 해서 제각각 불만을 터뜨리게 된다는 것 또한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각 시'군은 이미 평가 기준이 무엇인지 잘 알고 응모하는 것인 만큼, 신청 전에 그 잣대에 승복하겠다는 태도부터 확립해야 한다. 승산이 없는데도 지역 민심에 밀려 어쩔 수 없이 유치에 나서는 일이 있어서 안 되듯, 탈락 뒤의 민심 돌리기를 위해 정치적 반발 행동을 보일 싹도 미리 잘라야 하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