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발 물가 급등 충격'이 마침내 실질금리 '제로' 시대를 만들어냈다.
금융소득이 급감, 돈 씀씀이가 더욱 적어지면서 내수가 얼어붙고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물가는 더욱 오르는 '스테그플레이션' 상황이 실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집계에 따르면 지난 6월 예금은행 실질금리는 0%를 기록했다. 통계청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5%였고 한국은행이 집계하는 6월 중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 평균금리가 연 5.5%를 나타낸 것.
명목금리는 은행에서 제시하는 금리로 5.5%이며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개념으로 지난 6월 중 0%가 됐다. 게다가 이자소득세(세율 15.4%)까지 물어야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제 은행에 돈을 맡겨 두면 손해를 보는 구조가 만들어진 것이다.
그동안 실질금리가 이미 마이너스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많이 나왔지만 통계청이 공식적으로 밝힌 소비자물가가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저축성수신 평균금리까지 오른 것은 2005년 1월(0.0%) 이후 3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한국은행이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1996년 1월 이후 실질금리가 0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3년 3월(-0.2%), 2004년 7월(-0.6%), 2004년 8월(-1.1%), 2004년 9월(-0.4%), 2004년 10월(-0.3%), 2005년 1월(0.0%) 등 6개월뿐이다.
그러나 해당 6개월 중 저축성 수신 평균금리는 3.4~4.3%로 상대적으로 저금리 시기였다. 1996년 이후 종전의 실질금리 마이너스 시대가 낮은 예금금리 탓이었다면 최근 상황은 예금금리는 외환위기 이후 높은 수준이지만 물가가 더 가파르게 오르며 실질금리가 마이너스가 됐다는 분석이다.
실질금리 마이너스 현상은 시중금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표금리인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은 2분기 5.32%로 이자소득세(15.4%)를 제외하면 연 4.5%다. 이는 2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 4.8%에 미달하는 수치다.
이런 흐름은 점차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8월 실질금리는 3.0%였지만 10월에 2.3%로 2%대로 내려선 후 올 2월에 1.8%, 3월 1.4%, 4월 1.4%, 5월 0.5%, 6월 0.0%로 점차 낮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은행들이 예금금리 인상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은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5.9%까지 치솟아 실질금리가 더 하락했을 것으로 우려된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