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거꾸로 가는 경북 환경행정"

금오산 道자연환경연수원 민간 위탁

경북 지역 환경단체와 구미시민들이 구미 금오산에 위치한 도 자연환경연수원을 감축해 청소년육성재단에 위탁 운영키로 한 경북도 방침에 집단 반발하고 있다.

도 자연환경연수원 교육 수료생(2만6천여명)의 동창회 모임인 자연사랑 18개 시군 연합회 회원 3천500여명은 도 방침이 알려진 후 시군 회장단 긴급 모임을 갖고 '자연환경연수원 민간위탁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투쟁에 나섰다.

자연사랑 연합회원들은 "도민의 환경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자연환경연수원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에 위탁해 운영하겠다는 것은 거꾸로 가는 환경 행정"이라며 "시대착오적인 민간위탁 방침을 철회할 때까지 1만명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고 했다.

비상대책위원회 지인태(57) 공동대표는 "21세기 환경을 지키기 위해 더욱 강화해야 할 환경교육기관을 단순 경제논리로 민간위탁시켜 도민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은 한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근시안적 행정"이라며 "이번 방침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자연사랑 연합회원들은 모교가 없어지는 만큼 환경을 살리고 모교를 지키기 위해 단계적이고 조직적인 반대 운동과 목숨을 건 단식투쟁도 불사하겠다"고 했다.

또 도 자연환경연수원 관계자는 "도가 국립청소년환경교육센터 건립·국립자연사박물관 건립· 독도관련 환경교육센터 운영 등을 추진하면서 도민환경교육기관을 민간위탁하겠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경남도자연학습원 등 다른 자치단체들도 민간위탁에 실패하면서 다시 사업소로 전환하고 있는 만큼 차라리 구미시에 관리·운영권을 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구미시의회 황경환 의장은 "구미시가 최초 조성해 구미시민과 함께한 자연환경연수원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에 위탁하는 것은 시민 부담을 가중시키는 일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집행부가 이번 일에 대해 알고서도 수수방관했다면 책임을 추궁하고 시의회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했다.

도 자연환경연수원은 1983년 구미시 자연학습원으로 문을 연 후 1986년 도 자연학습원으로, 2006년 현재 조직으로 확대 개편됐다.

구미·정창구기자 jungc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