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군 영덕읍과 영해면 시가지에 인도(人道)가 없어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영덕읍 중심지인 남석리 제일약국 네거리와 교육청 앞, 구택시대기소 앞 등 총 연장 15㎞ 시가지 도로에는 보행자를 위한 인도가 한 곳도 없다. 한때 주민수 1만4천여명을 자랑했던 영해면의 중심지 성내리 일대 총 연장 8㎞ 도로도 마찬가지다.
다른 도시의 중심지 도로는 폭이 대부분 15m인데 반해 이곳 도로 폭은 12m라 인도를 설치한 공간이 나오지 않는다.
이 같은 상황은 '지역 유지들의 이해 관계와 행정기관의 근시안적 행정' 때문에 빚어졌다.
영덕군 건설과 관계자는 "1970년대 중반 도시계획도로 지정 당시 군은 도로폭을 15m로 그었으나 지역 몇몇 유지들의 반대에 부딪혀 12m로 변경했다"며 "지역 터줏대감들이 자신의 땅이 도로에 편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벌인 로비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또 "군에서는 말썽이 생기자 별 생각없이 유지들의 요구를 수용했다"며 "이 과정에서 일부 도로는 지그재그로 나기도 했다"고 말했다.
승용차가 급증한 최근 영덕군민들은 이로 인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왕복 3차로 규모에 불과한 12m 도로 탓에 노면주차장을 만들 수 없어 만성적인 불법주차에다 교통혼잡을 겪고 있고 보행자, 특히 등하교 시간 어린이들의 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주민 이모(54)씨는 "윗대의 이해관계로 인해 후손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앞으로는 이런 일이 벌어져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덕군 공보계 관계자는 "1980년대 이후 만든 강변도로나 우회도로에는 인도를 설치했으나 중심가 도로는 손을 댈 수 없는 실정"이라며 "시가지의 부지를 매입해 공용주차장을 확보하려 하지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영덕·박진홍기자 pjh@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