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용 승용차의 대구시청 산하 관공서 주차장 이용을 둘러싸고 때아닌 갈등이 불거진다고 한다. 시청이 이달부터 '선택요일제' 불참 승용차의 출입을 막고 나서자 민원인들이 반발한다는 것이다. 당국은 새 제도 동참을 유도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하지만, 시민들은 그것과 민원 사무가 어떤 상관이 있는지 도무지 이해하지 못한다고 했다.
아무래도 잘못하는 쪽은 시청인 것 같다. 만약 휘하 공무원만 대상으로 해서 시행한다면 어느 정도 타당성을 인정받을지 모르겠으나, 일반 시민으로까지 확대 적용하기엔 무리인 게 이런 강제조치이기 때문이다. 그럴 바엔 시내 모든 도로에 대해 요일제 불참 승용차 운행을 금해 버리는 게 차라리 효과가 있지 않겠느냐는 비아냥거림이 오히려 설득력 있어 보일 정도다.
새 제도를 도입하고도 정책수단에서는 제대로 갈피를 잡지 못한 탓이다. 제도 자체가 참여 유인력을 갖추도록 다듬고 보강해야 할 것인데도 그쪽에선 길을 찾지 않은 채, 손쉽다고 엉뚱한 수단을 동원하려 한다는 말이다. 시행을 위해 이미 10억 원 이상의 돈을 투입하고도 참여율이 공무원을 중심으로 겨우 2.5% 수준에 불과한 게 바로 그 결과다.
승용차 요일제는 개인 승용차의 교통량을 줄이고 대중교통수단 활용을 촉진해 도시의 환경을 살리고 경제성도 높이자는 좋은 제도이다. 그렇다면 그걸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차세 수입 전액 포기마저 불사하겠다는 결연한 태도로 나서야 성과를 낼 수 있다. 기껏 자동차세 5% 경감 정도의 보상으로 불편한 요일제를 스스로 받아들일 시민은 극히 드물 수밖에 없다. 세수 수입도 놓치기 싫고 제도도 포기하기 싫다는 접근방식으로는 성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참여 유인책 전반을 근본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