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방정부가 더 속태우는 낙동강 물 부족

경북도청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는 등 수자원 확충에 팔을 걷고 나섰다. 광역수계의 수량 관리가 중앙정부 사무인 점에서 보면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전 같으면 댐 시공 과정에 행정력을 지원하는 정도가 지방정부 역할의 전부였다. 하지만 이번엔 오히려 중앙 쪽을 설득하고 이끌겠다는 태도다. 작년 가을 이후 계속되는 가뭄의 충격이 그만큼 크다는 말일 것이다.

도청의 당면 목표는 3년 내 완공을 목표로 시공 중인 역내 3개 댐의 공기를 일년 단축하고, 2개의 댐 건설을 새로 추진하거나 촉진하는 것이다. 물길이 짧은 낙동정맥(태백산맥) 동편 지역이어서 본래 수량 부족의 위험성을 안고 있는 영덕 일원 식수댐으로 구상된 달산댐이 특히 눈길을 끈다. 비슷한 상황을 일시에 해소시킨 경주 감포댐이 기대효과를 이미 웅변하고 있다.

낙동강 수계 유량 확보는 중앙정부가 더 답답해하며 서둘러야 할 과제다. 건기에 극심한 가뭄이 닥칠 경우에도 강이 필히 유지해야 할 적절 유량이 얼마인지 먼저 계산해 내야 한다. 필요한 지점별 방류량을 산출해 그에 맞춰 필요 저수량과 댐 건설 수요를 확정해 내 놔야 물관리 정책의 믿음을 살 수 있다.

이번 낙동강 유량 부족이 상당 부분 기존 댐의 저수량 관리 실패에 기인했다는 주장이 있는 만큼 댐 관리 매뉴얼 또한 전면 재점검해 봐야 할 듯하다. 소비도시에서의 물 자충 방책도 전략적으로 강구될 필요성이 있다. 도시 전체의 빗물을 모두 모았다가 재활용하는 '레인시티' 건설을 최근 선언한 경기도 수원이 좋은 선례다.

중앙정부가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나서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