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남정 면민들이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원자력발전소 유치에 나섰다. 이미 6기의 원전이 돌아가는 울진에서도 추가 유치 움직임이 활발하다. 일부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유치 경쟁 때 겪었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겠다고 다짐할 정도다. 기피시설로만 여기던 원전 인식이 놀랍게 달라진 것이다.
이런 변화는 무엇보다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높아진 데 바탕 했을 것이다. 우리 원전은 작년 4월 29일로서 가동 30년의 역사를 축적했으나 큰 문제를 일으킨 바 없다. 원전은 세계적 난제인 온실가스로부터 자유롭다. 발전비용이 수력발전의 절반에도 못 미칠 정도로 싸다. 1982년 이후 작년까지 일반물가가 180%가량 올랐으나 우리 전기료 상승률은 5.4%에 그친 것도 그 덕분이다. 게다가 원전 건설 지역에는 엄청난 보상이 주어진다. 주민들이 솔깃해 할 소지가 다분한 것이다.
원전에 대한 인식 변화는 국내 원전 추가 건설에 더할 나위 없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다. 정부는 한때 49%에 이르렀다가 36% 수준으로 떨어져 있는 국내 발전량에서의 원전 비중을 59%로 다시 높일 계획이다. 이미 20기의 원전을 가동 중이나 2030년까지 10기를 추가로 건설키로 한 것이다. 이게 바로 지금 동해안 주민들이 유치하려는 대상이다.
원전을 두고 형성된 이런 좋은 기류를 확장시켜 가려면 정부나 원전 당국이 더 많이 노력해야 한다. 미국이 발을 뺀 뒤 또 하나의 원천기술 국가처럼 부상한 나라답게 기술 수준을 더 높여야 한다. 더워진 물을 내보내 바다 생태계 파괴 시비에 계속 휘말리는 지금의 한계점도 어떻든 극복해 내야 한다. 우리 국민의 기대와 당국의 부응 사이에 박자가 잘 맞아 들어가야 바라는 대로 원전 수출국으로 비상도 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