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28 대구학생운동, 민주화운동 승격을"

내년으로 의거 50주년을 맞는 '2·28 대구학생운동'을 민주화운동으로 승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고 있다.

2·28 대구학생운동은 정부수립 후 최초의 학생운동으로 '3·15 마산의거'와 '4·19혁명' 등의 도화선이 됐다.

대구시와 국회의원, 민간단체 등이 '2·28 대구학생운동'을 민주화운동으로 승격시키려는 직접적인 이유는 기념회관건립 때문이다. 대구시는 남구 대명동 명덕네거리 인근 1천320㎡ 부지에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의 '2·28 민주운동 기념회관'을 건립할 예정이다. 기념관에는 민주운동 역사·기록전시실과 도서관, 청소년 교육장 등이 들어설 예정으로, 대구시는 오는 5월쯤 실시설계비 5억원을 정부에 요청한 뒤 내년까지 나머지 75억원의 국비를 확보할 계획이다.

하지만 국비 지원을 받으려면 관련법 개정이 필수적이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법에 '2·28 대구학생운동'이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3·15 마산의거와 부마항쟁은 민주화운동에 지정돼 있어 마산시는 국비 100억원을 지원받아 3·15 아트센터를 건립했고, 부산시는 부마항쟁 기념사업으로 올해만 4억5천만원의 국비를 받았다"고 했다.

한나라당 이해봉 의원(달서 을) 등은 2·28 학생운동을 민주화운동에 포함시키기 위해 법 개정 서명을 받고 있다. 이해봉 의원 측은 "17대 국회도 법 개정을 추진했지만 상임위에서 민주화운동재단 설립 문제와 맞물리면서 개정안이 폐기됐다"며 "현재 23명의 국회의원이 서명했으며 다음달 임시국회까지 50명 이상 서명을 받아 동의안을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2월 28일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해 내년 50주년을 맞는 2·28 학생운동의 의미를 국가적인 차원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경남지역이 3·15 마산의거를 국가기념일로 제정하기 위해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하기로 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반면 대구지역은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2·28 민주운동기념사업회' 박명철 사무총장은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도 2·28 학생운동이 정부 수립 후 최초의 학생운동이자 선구적 민주화운동이라고 선언한 만큼 2·28의 의미를 다시 새겨봐야 한다"고 밝혔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 2·28 대구학생운동=이승만 정부가 1960년 2월 28일 일요일 수성천변에서 열리는 야당인 민주당 부통령 후보 장면 박사의 유세장에 가지 못하도록 학생들에게 등교 지시를 내린 것에 반발해 경북고, 대구고, 경북사대부속고 등 8개교 고교생 1천200여명이 가두시위를 벌인 사건이다. 해방후 학생운동의 효시였으며 3·15마산의거, 부마항쟁 등으로 이어지며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