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특화벨트를 초광역개발권에 추가하기로 한 정부 조치에 발맞춰 대구가 광주와 손잡고 R&D특구(연구개발특구) 유치활동에 본격 나선다.
대구시는 지난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대구R&D특구추진단 출범' 회의를 가진 데 이어 31일 대구R&D특구 기본구상 제안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한다. 대구시는 이어 ▷4월 초 추진방향 및 초안작성 ▷4월 중 광주시와 협의 ▷6월 대구R&D특구 지정 제안 ▷3~10월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및 지식경제부 등과 지속적 협의 등 유치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정부는 현재 ▷R&D특구 지정요건 완화를 위한 연구용역을 이달 중 발주하고 ▷오는 7, 8월 중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개정 ▷10월 R&D특구 추가지정 등을 계획하고 있어 대구와 광주의 R&D특구 지정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005년 11월 연구개발특구 추진위를 구성해 지속적으로 활동을 펼쳐온 광주의 경우 지난 1월 대통령 업무보고 때 광주R&D특구 지정을 건의했고, 상반기 중에 4천740억원(2009~2013년) 규모의 R&D특구 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실시할 예정이다.
반면 대구는 2004년 3월부터 테크노폴리스를 중심으로 대구R&D특구 조성을 추진해 왔으나, 관련 특별법상 지정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유치활동을 중단했다가, 올해 1월부터 대구R&D특구에 대한 재검토 작업에 들어갔다.
산업연구원 홍진기 박사는 "정부의 R&D특구 추가지정 방침은 대전 중심의 연구개발 독점시대를 끝내고 권역별 R&D 경쟁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면서 "수요자 중심의 R&D 사업화 메커니즘 구축에 중점을 두고 차별화 특성화한다면 대구가 오히려 앞설 수 있다"고 말했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