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교육특구, 싱가폴 모델로 삼아야"

"세계 100대 대학에 선정된 싱가포르국립대학의 경우 학부 학생 20%, 대학원생의 60%가 80여개국에서 온 외국인이며, 교수의 절반도 외국인입니다. 이 때문에 미국 실리콘밸리 등 5개 국가에 분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이 대학 설립을 계기로 명실상부한 세계적 교육국으로 발돋움했습니다."

계명대 김태완 교육학과 교수는 2일 '교육국제화특구 지정·운영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교육특구법) 처리 논의를 위한 대구경북 국회의원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17대 국회 때 이주호 전 한나라당 의원(비례대표)에게 교육특구법 용역을 받아 밑그림을 그린 인물이다.

김 교수가 갖고 있던 구상을 이날 브리핑하고 국회의원들이 흔쾌히 받아들임에 따라 교육특구의 청사진이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김 교수는 아시아 국가 중 세계화가 가장 잘 이뤄진 싱가포르를 모델로 삼았다. 그에 따르면 서울 정도의 면적에 인구 500만명인 도시 국가가 세계 교육을 견인할 수 있는 이유는 싱가포르대 설립과 시카고경영대학원 등 10여개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을 유치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삼성과 같은 세계가 인정하는 기업을 보유한 국가라면 세계가 인정하는 대학을 가지지 못할 이유가 없다"며 "특구 지정을 계기로 해외 대학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과 연계해 들어올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석자들도 특구법안 처리에 한목소리를 냈다. "조기 유학 비용으로 매년 3조4천억원(2005년 기준)의 국부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특구가 빨리 지정돼야 한다"(서상기 한나라당 대구시당위원장) "지방에 특구를 유치해 수도권-지방대학 간 편차를 줄여야 한다"(박종근 의원) "대구의 유일한 인프라인 대학을 활용하는 가장 효율적인 법안이 될 것"(배영식 의원)이라며 지역 의원들은 법안 처리를 다짐했다.

특히 여권의 국회 운영 실무를 책임지고 있는 주호영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대구 수성을)는 "특정 지역 유치를 명시한 법안이 아니기 때문에 법안 처리에 야당도 크게 반대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빠르면 4월 국회 처리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