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 노트] '자전거 상주' 명성 지키기

'자전거 도시' 상주가 한껏 고무돼 있다. 18일 이명박 대통령이 라디오 연설에서 자전거 타기를 강조하면서 상주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전거 도시로 언급했기 때문이다.

상주에서는 모든 시민들이 자전거 타기를 생활화하고 있다. 여학생과 주부, 어린이, 노인 등 남녀노소 구분 없이 누구나 자전거를 탄다. 상주에서는 자동차 운전자보다 자전거 타는 사람들의 모습이 더 당당하게 여겨진다.

상주에는 1910년 자전거가 보급됐다고 한다. 그 역사가 100년이나 되는 셈이다. 당시 자전거는 한대 가격이 30원(현 시세로는 100만원 정도)으로 상당히 고가품이었다. 또 1925년 상주 기차역 광장에서는 조선8도 전국 자전거대회가 개최됐다고 한다. 일찍부터 자전거문화가 발달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전통을 바탕으로 상주는 2000년 전국 자전거 활성화사업 최우수 도시로 지정됐다. 현재 상주는 전국 최대의 자전거 보급률을 자랑한다. 가구당 2대 이상 꼴로 전체 보급대수는 8만5천대다. 이는 승용차 보유대수 3만8천686대(지난해 6월 현재)의 2.5배에 해당한다. 대부분 통학이나 출퇴근, 시장보기 등으로 교통분담률 25%를 차지하고 있다.

상주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자전거 면허증도 발급한다. 지난해까지 초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3천696명에게 자전거운전 면허증을 발급했다. 전국 유일의 자전거 박물관도 있다.

이처럼 자전거 문화가 시민 생활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지만 정작 자전거 타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최근 자전거도로를 많이 확장했지만 시내 중심가에는 대부분 인도에 선만 그어 두었을 뿐이다. 자전거 전용도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자전거 도시의 유명세를 타고 전국에서 상주를 벤치마킹하고 있는데 앞으로 이들 도시에 뒤처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상주가 전국 제일의 자전거 도시란 명성을 살려 보다 체계적이고 혁신적인 자전거도시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사회2부 이홍섭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