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물 위로 새 한 마리 유유히 떠오르자
그 아래쪽 허공이 돌연 팽팽해져서
물결이 참지 못하고 일제히 퍼덕거린다
물 속에 숨어 있던 수 천의 새떼들이
젖은 날갯죽지 툭툭 털며 솟구쳐서
한 순간 허공을 찢는다, 오오 저 파열음!
『분홍 물갈퀴』란 이정환의 근작시집이 도착했다. 이 시집은 수많은 소리와 색조로 수런거린다. 시선이 맞닿은 「새와 수면」이란 작품은 풍경과 시간의 교차점을 복원했다. 한 행이 한 연이다. 한 행으로 줄어든 한 연의 말들을 복각해본다. 아니 처음부터 한 행이었다. 줄어든 말들이 없다. 풍경의 중심에 새 한 마리 보인다. 그 새가 돌연 솟구치자 새의 그림자를 섬세하게 담았던 물결들이 일제히 따라 허공에 솟구친다. 그림자들은 강물의 드센 힘줄처럼 따라 솟구친다. 숲 속을 산책하다 문득 치솟는 꿩의 날갯짓을 연상해보라. 꿩의, 날개의, 싱싱한 근육의 힘이, 온 산을 진동시켜 지척지간 몸에 다가오는 힘의 떨림들을 기억하라. 그러니까 시인은 저만치 강물 위의 새를 보지만 그 새가 날아오를 때 숲 속 꿩의 드잡이질 치는 힘의 움직임을 가까이서 보고 느끼고 만지고 있다. 원근이 교차한다. 그게 전부가 아닐 것이다. 그 새가 교류했던 강물과의 정서 합일이 새를 따라가면서 치솟게 하는 물결의 역동성을 떠받쳤던 것. 만상이 서로 간섭하고 길항하는 풍경의 선연한 단면 위로 시인의 시선이 정확하게 꽂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