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로 여야 거물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전패로 위상이 흔들릴 처지다. 민주당 지도부는 체면치레를 했다.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은 신건 전 국정원장과 함께 재기했다. 진보신당도 원내에 진입했다.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는 패배 책임론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소장파로부터 대표직 사퇴 요구가 나올 공산도 있다. 10월 재보선에서 원내에 진입한다는 꿈마저 접어야할 지 모른다.
이상득 의원도 궁지에 몰렸다. 측근인 정종복 전 의원의 패배로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까지 부담을 지움에 따라 고민이 클 것으로 보인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친이-친박 논쟁이 재연되면 친이가 밀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
정몽준 최고위원도 울산 선거에서 패배한 충격에 휩싸여 있다. '현대 왕국' 울산에서 진보신당에 밀려 '한계'를 노출했다. 울산 승리로 정치 위상을 높이려했던 계획은 물거품이 됐다.
박근혜 전 대표는 아무런 일도 하지 않고 승리자란 정치권의 평가를 얻고 있다. 정수성 후보의 출판기념회에 참석한 것이 고작인데 정 후보는 '박근혜 마케팅'으로 결국 당선됐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정종복 한나라당 후보를 떨어뜨린 격이라 대권가도를 달려야 할 그에게 큰 부담일 수 있다.
민주당은 절반의 승리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올인한 인천 부평을에서 승리해 입지를 강화했다. 하지만 전북 맹주 자리는 정동영 당선자의 도전으로 흔들리게 됐다.
정 당선자는 4·29가 화려한 복귀 무대가 됐다. 대선 패배 후 낭인의 길을 걷다시피 했으나 전주는 그를 지켜줬다. 특히 그의 무소속 연대 제안을 받아들인 신건 당선자가 막판 역전에 성공해 기쁨이 2배다. 그러나 민주당 복귀는 그리 만만해보이지 않는다. 당의 분란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원투수역을 맡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도 승자다. 수도권 승리로 10월 재보선에서 원내에 진입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노회찬 진보신당 대표도 조승수 후보의 당선으로 원내 정치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노 대표는 내년에 서울시장에 도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