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약 이야기.약의 역사 ④]

호르몬의 발견

1859년 프랑스 생리학자 C. 베르나르는 1859년 간정맥의 피가 간동맥의 피보다 혈당값(혈액 속의 포도당 농도)이 높다는 것과 간이 도관을 이용하지 않고 포도당을 혈액에 직접 방출하는 것을 발견하고 내분비(內分泌)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그리고 일본인 다카미네 조키치(高峰讓吉)는 1901년 최초로 부신수질에서 아드레날린을 추출했고, 영국의 생리학자 E. H. 스탈링은 1902년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세크레틴을 발견하고 1905년 호르몬이라는 이름을 명명했다. 스탈링은 호르몬을 '동물 체내의 특정한 샘(내분비샘)에서 형성되고 혈액 중에 분비돼 멀리 떨어진 다른 기관으로 운반돼 미량(微量)으로 특수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라고 정의했다.

호르몬의 작용을 크게 분류하면 동물의 체내 생체리듬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과 동물의 성장 방식이나 기관 분화(分化)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사람을 포함한 척추동물의 호르몬 중에서 중요한 것은 10여 종류가 있다.

이들 호르몬을 살펴보면 ①뇌하수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시상하부 호르몬 ②성장과 성선자극 등에 관여하는 뇌하수체 호르몬 ③대사 촉진 등과 관련 있는 갑상선 호르몬 ④혈중의 칼슘 농도 등을 관리하는 부갑상선 호르몬 ⑤혈당의 이용과 저장에 관여하는 인슐린 등을 분비하는 이자 호르몬 ⑥위산'쓸개즙 등 소화액의 분비에 관련된 위장 호르몬 ⑦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방출하는 부신피질 호르몬 ⑧아드레날린과 노르에피네프린 등을 분비하는 부신수질 호르몬 ⑨남성 호르몬, 발정(發情) 호르몬, 황체 호르몬 등을 분비하는 생식선 호르몬 ⑩태반의 형성과 출산에 관여하는 태반 호르몬 등이 있다.

이처럼 호르몬은 내분비샘에서 분비돼 그 호르몬이 만들어지는 장기와 관계없이 기능을 나타낸다. 그리고 호르몬 분비 기능의 결함이나 호르몬 수용체의 이상(異常)으로 호르몬의 결핍이나 과잉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내분비장기의 기능 부진 또는 결손에 대해 그 장기의 호르몬을 보충하는 요법 또는 내분비기능 항진에 대해 길항(대항)하는 다른 호르몬을 투여해 조절하는 치료법을 내분비요법 또는 호르몬요법이라고 한다. 갑상선기능 부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의 투여와 난소기능부전에 여성호르몬을 투여하는 것 등이 보충 요법이고, 여성호르몬 과잉에 남성호르몬 투여나 당뇨병에 길항성 호르몬 투여법 등이 과잉 분비에 대한 치료 방법이다.

또 이러한 내과적 요법 외에 외과적 요법, 즉 그 장기를 외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다. 호르몬의 생리작용 또는 약리작용을 이용해 치료 또는 진단의 목적으로 제제화(製劑化)한 약제인 호르몬제를 사용하는 요법이다.

초기에는 호르몬제를 동물의 장기를 비롯해 소변이나 혈액에서 추출했지만 지금은 합성된 화합물질이 많이 개발돼 성 호르몬이나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의 합성 호르몬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잘 알려진 갑상선 호르몬, 타액선 호르몬, 하수체 호르몬, 성 호르몬, 이자 호르몬, 부신피질 호르몬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도움말'구본호 대구시약사회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