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 음폐수(음식물쓰레기폐수) 처리업체의 해양투기 중단으로 음식물쓰레기 대란이 예고되고 있다.
대구시는 전국의 음폐수 해양투기 업체들이 최근 해양경찰의 음폐수 함수율 단속과 처리업체인 한국음식물자원화협회와의 갈등으로 5일부터 음식물쓰레기업체의 음폐수 반입을 중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음폐수 해양투기업체는 전국에 19개로 대부분 반입 중단에 동참하고 있다.
음폐수 해양투기가 중단되면 음식물쓰레기 처리 업체들이 가정의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더라도 처리가 어려워져 장기화될 경우 큰 혼란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구군 관계자 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시와 구·군은 환경녹지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대책반을 편성,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
대구시 전역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일일 평균 560t으로, 처리과정에서 350t 정도의 음폐수가 발생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업체에서 음폐수를 자체 보관할 수 있는 기간은 4일 정도로 매우 취약하다.
시는 해양투기 업체들의 파업이 길어질 경우에 대비, 시민들에게 음식물쓰레기 발생을 최대한 줄이고 가정에서 가급적 건조한 상태에서 배출해 줄 것을 당부했다. 파업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신천하수병합처리장과 소각장을 풀가동해 일일 450t을 처리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음식물쓰레기 파동처럼 사회적 문제가 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대처하겠다"며 "2013년부터 도쿄의정서에 따라 해양투기가 차단될 경우를 대비해 7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음식물쓰레기 바이오가스화 사업(300t/일 처리)을 추진 중"이라고 했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