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투쟁의 장을 장외에서 원내로 돌려 입법 전쟁을 준비하는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이나 국회 등원 시기에 대해서는 여전히 갈피를 못 잡고 있다.
당내 강경론자들은 "당장 국회로 들어가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명박 대통령과 여당이 민주당의 요구 사항을 사실상 무시하고 있어 국회에 들어간들 생산적 논의가 될 수 있겠느냐는 논리다. 또 등원하더라도 충분한 냉각기를 가지면서 애를 태워야 여권을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는 계산도 포함돼 있다.
하지만 국회 개원을 무작정 늦출 경우 역풍이 불 수도 있어 민주당으로선 고민이다. 6·10 이전까진 장외 투쟁의 명분이 있었지만 그 열기가 예전만 못했고 때문에 계속 장외에 머물 수 없는 처지다. 그래서 지도부는 "5대 요구 사항이 반드시 국회 개원의 조건은 아니다"고 한발 물러섰고, 일부 중진 의원들은 "결국 문제는 국회에서 풀어야 한다"며 등원 쪽으로 기우는 상태다.
이 때문에 불가능할 것으로 보였던 6월 국회도 열릴 것으로 보는 이들이 늘었다. 11일 여야 원내수석부대표 회동에서 민주당은 "대통령 사과나 책임자 문책은 청와대가 결정할 몫이므로 국정조사·특검·검찰개혁 특위 도입이라도 받아들이면 당장 국회를 열 수 있다"고 한발 물러섰다.
하지만 한나라당은 여전히 민주당의 요구를 못마땅해 하고 있어 민주당이 14일 예정돼 있는 원내대표 회동에서 강수를 들고 나올 경우 등원 시기는 또다시 시계 제로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