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통령은 소통에서 길 찾아야 앞이 보일 것

이명박 대통령이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처음 국민에게 입을 뗐다. 어제 정례 라디오 연설을 통해 "청와대 안팎에서 많은 얘기를 듣고 있다. 미국 방문을 끝낸 뒤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판단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민심 분열, 권력부패, 정쟁을 고질적 문제로 지적하며 "근원적 처방이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자신이 구상하고 있는 시국 방안의 일단을 내비친 것이다.

쏟아지는 국정 변화 요구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있다. 각계에서 내놓는 시국선언들도 대통령을 압박하는 측면이 적지 않다. 대통령이 마냥 귀를 닫고 지낼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늦게라도 국정 쇄신을 시사하는 대통령의 육성이 나온 것은 다행스럽다. 전직 대통령 자살을 겪으면서 한나라당 인기가 추락한 정치지형을 보더라도 집권 최고책임자로서 국면 전환의 필요성을 절감해야 할 것이다.

현단계에서 대통령이 내놓을 '처방'으로 내각과 청와대의 대대적 인사가 가장 유력해 보인다고 한다. 국정을 주도하는 면모를 일신해 국민의 신뢰를 찾자는 의도일 것이다. 효과적 방안임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많은 국민이 꾸준하게 요구하는 핵심에는 대통령 자신의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 소통 부재에 대한 지적이 그것이다. 국민에게 다가가는 국정 운영을 하라는 주문인 것이다. 지난해 쇠고기 난리서부터 '일방 통행'은 정부 비판의 단골 메뉴다.

그럼에도 대통령은 소통에 약하다는 지적이 억울한 눈치다. 열심히 일하면 결국은 알아줄 것이라는 자기고집에 매달려 있는 듯하다. 정치는 필연적으로 갈등을 수반한다. 그런 만큼 소통의 정치가 절대적이다. 대통령은 국민을 직접 설득하고 공감을 얻어내려 한 적이 얼마나 있었는지를 돌아봐야 한다. 민심의 대변자인 정치권을 경원시하는 태도 역시 虛心(허심)하게 살필 일이다. 어지러운 시국의 해법을 이곳에서 찾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앞날은 여전히 갑갑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