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 전망이 국내외에서 속속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국내 기업들의 부실이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23일 '하반기 기업 부실 확대요인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12월 결산 상장법인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7조7천억원으로, 전년 동기(15조6천억원)에 비해 50.8% 감소하는 등 기업 부실이 확대될 조짐이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 연구원에 따르면 기업 부채비율은 작년 1분기 88.2%에서 올해 1분기 109.5% 로 상승했다.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은 같은 기간 6.70에서 2.32로 하락했다. 그만큼 기업이 빚을 갚기가 어려워진 것.
그는 "상대적으로 호황을 누리던 시기에 이뤄진 기업 대출이 경기 침체기를 맞아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지난 4월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대출형태 서베이'에서는 대기업의 신용위험지수가 19에서 22로 상승했다. 한은 '금융안정보고서'에서도 지난해 기업대출 연체율 추이가 2006~2007년 평균 연체율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에 기업대출이 활발했던 점을 감안하면 하반기 부실 위험은 더욱 높다는 게 전 연구원의 분석이다. 작년 4분기~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3.9% 감소한 반면 기업대출은 18.6% 증가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머니마켓펀드(MMF) 등 유동성이 높은 단기 금융상품이나 우량기업 회사채 등 안전한 금융상품으로 자금이 쏠리면서 비우량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자금공급은 악화했다.
지난 19일 현재 비우량기업 회사채(BBB-) 금리와 국고채 금리 차(신용스프레드) 는 7.3%포인트에 달했다. 카드사태가 발생했던 2003년 당시에도 5%p 안팎의 차이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된다.
전 연구원은 "환율과 국제 유가 영향으로 기업들의 비용부담이 증가하면 부실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 정책당국은 구조조정기금 등을 활용해 부실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실채권 문제를 해결하고, 비우량기업들의 자금경색이 풀릴 때까지 현재의 경기부양 정책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경철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