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희망근로, 점검 통해 得失 따져봐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조금씩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고 한다. 대구 구청마다 주민 밀착형 사업을 개발하고 이색 사업을 발굴해 나름 호평을 받는 사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여자 절반 이상이 잡초를 뽑거나 쓰레기를 줍는 것과 같은 단순'반복 업무에 투입되는 바람에 사업이 비효율적이란 비판이 쏟아진 것과 비교하면 개선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매우 반가운 일이다.

전국적으로 1조7천억 원, 대구에서만도 925억 원에 이르는 혈세를 쏟아 붓는 희망근로의 성공 여부는 사업 아이템을 얼마나 잘 찾느냐에 달려 있다. 단순 취로 사업에 그치지 말고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편익에 항구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사업들을 찾아 희망근로 참여자를 투입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공무원들의 희망근로에 대한 확고한 인식과 열정적 노력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희망근로를 준비하는 기간이 짧았다는 이유로 제대로 된 사업을 찾지 못해 쓰레기 줍는 것과 같은 단순한 일에 절반 이상 참여자가 투입되는 사태가 빚어졌다. 이 같은 일을 하면서 한 달 80만 원이 넘는 돈을 받아가는 것은 참여자들이 보람을 찾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손해일 수밖에 없다.

여러 차례 지적한 것처럼 지역 사정에 맞는 사업을 발굴하거나 중'장기 발전 계획에 적합한 사업 모델을 찾아 희망근로의 효과를 높이는 게 중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희망근로 인력을 활용해 대구 북구청이 낡은 경로당과 노인들의 주택을 고쳐주고, 서구청이 자전거 이용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동구청이 '희망농장' 사업을 통해 배추와 무 3만 포기를 재배, 복지 시설에 기증하는 것도 신선하게 와닿는다. 결혼 이주 여성들을 희망근로에 참여하도록 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같은 곳에서 활동하게 한 달서구청도 모범 사례라 할 수 있다.

희망근로를 시작한 지 두 달이 되어가는 만큼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사업을 총체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해서 잘못됐거나 효과가 미흡한 사업들은 과감하게 접고 앞서 예를 든 지자체처럼 효율성 있는 사업들을 많이 찾아 시행해야 할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담당 공무원들은 주민들에게 실질적 혜택이 돌아가는 사업들을 찾는 노력을 해야 한다. "내 돈을 들여 사업을 한다"는 마인드를 갖는다면 바람직한 사업들이 눈에 보일 것이다. 희망근로의 성공 여부는 각 지자체와 공무원들의 노력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