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떼굴떼굴, 시끌벅적… "미술과 놀아요"

어린이 여름방학 미술체험 행사 잇따라

여름방학을 맞은 어린이들을 위한 미술 체험 행사가 잇따라 열린다. 단순히 벽에 걸린 그림이나 조각을 보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미술 작품을 만져보고 들어가서 함께 뛰어놀면서 예술을 이해하고 창의력을 키워주기 위한 행사들이다.

▨수성아트피아-떼굴떼굴미술관

수성아트피아는 '2009 떼굴떼굴미술관'전을 8월 26일까지 연다. '상자 속의 아이들'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안을 열어보기 전까지는 무엇이 들어 있는지 알 수 없는 상자를 통해 아이들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 수성아트피아 이미애 전시기획팀장은 "아이들에게 미술관은 편안히 그림을 감상하고 이해하는 공간이 아니라 통제와 제약이 많은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다"며 "이번 전시는 아이들에게 좀 더 친숙한 공간으로 미술관이 인식되고, 쉽게 전시품을 이해하는 공간으로 자리하고자 마련된 행사"라고 했다.

키즈아트디렉터(Kids Art Director) 권민경씨와 함께하는 이번 행사는 모두 7개 테마로 이뤄져 있다. 크기와 모양이 각기 다른 상자를 이용해 아이들에게는 다양한 볼거리와 호기심을 부여할 수 있는 흥미진진한 행사들이다. 어른들을 위해 옛 추억이 담긴 사방치기(땅따먹기 놀이), 고무줄놀이, 제기차기 등의 놀이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코너가 마련돼 있으며, 아이들은 엄마, 아빠와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테마로 전시가 구성돼 가족과 함께 단란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행사로 기획돼 있다. 하루 평균 150~200여명, 주말에 300~400여명의 관람객이 찾고 있다. 입장료는 일반 3천원, 20인 이상 단체 할인 2천원이며, 월요일은 휴관이다. 053)666-3266.

▨봉산문화회관-펀인아트스타

봉산문화회관은 '펀인아트스타'(FUN in ART☆)라는 제목의 예술로 만든 놀이전을 31일부터 8월 16일까지 연다. 이번 전시의 주제는 '꿈을 만들다-스타미술가와 펀(fun)한 만남'.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봉산문화회관 1~3 전시실에서 열리며, 8월 7일 오후 7시에는 작가와의 만남이 예정돼 있다. 이번 전시에는 2007~2008년 '유리상자 아트스타' 기획 공모에 선정됐던 작가 김영희, 리우, 정민제, 한유민, 정세용, 신경애, 강윤정 등 7명이 참여한다. 이들의 다양한 설치미술 작품 속에서 작가가 고안한 놀이를 함께 즐기는 입체적인 예술 체험 프로그램. 무료로 제공되는 '셀프가이드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 스스로 찾아다니며 전시 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키즈 아트클럽'은 3명의 지도자가 진행하는 전시감상형 예술체험 프로그램이다. 행사기간 중 8, 12, 15일 봉산문화회관 1층 스페이스라온(소공연장)에서 열리며, 프로그램별 15명 정원으로 이뤄진다. 8월 5일까지 전화 접수를 통해 선착순 마감한다. 강좌별 참가비는 1만원. 053)661-3081~2.

▨대백프라자갤러리-시끌벅적 미술관

시끌벅적 미술관은 친환경적인 소재와 재활용품을 이용한 다양한 미술 작품들을 감상하며, 살아 움직이는 곤충들의 생태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전시·체험 행사. '곤충과 환경이 함께하는 시끌벅적 미술관'은 8월 6~24일(11일 휴무) 대백프라자 10층 갤러리에서 열린다. 곤충 생태관과 수족 생태관으로 이루어진 생태학습관에서 애벌레부터 성충까지 다양한 종류의 곤충이 전시된다. 수족 생태관에서는 희귀 물고기를 비롯해 바다 가재와 소라게, 민물게 등 다양한 바다 생물들을 볼 수 있다. 30여개의 진열장에서 펼쳐지는 곤충과 바다 생물의 생태를 직접 눈으로 살펴보고 손으로 만져볼 수 있다. 환경 주제관에서는 재활용품을 이용한 여러 가지 소품들이 있다. 집을 직접 꾸며볼 수 있도록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다양한 공예 작품들이 선보인다. 생각놀이 미술관에서는 명화조각퍼즐놀이, 오감을 자극하는 다양한 오감체험활동이 아이들의 EQ를 자극하고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된다. 관람 어린이들에게는 동화책 한 권과 체험학습수료증, 색 표현 제작 공작물, 유기농 요구르트 등 다양한 기념품도 증정한다. 053)420-8013.

김수용기자 ks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